새로운 사랑을 시작한다는 것은..

언제나 두근거리기 마련이다.

이 바쁜 와중에서도 사랑은 싹튼다. 그 동안 잊고 있었다고만 생각했던 두근거리는 느낌, 그것이 설레임이라는 것으로 불리우는 것일까 싶은 생각이 들만큼이나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아직 사랑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최소한 함께 한다는 것만으로 가슴의 물리적인 박동외의 떨림이 있다는 것은 설레임의 증거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심장박동이 미친거라고 생각될 만큼 뛰기 시작해야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1년이 지나고 2년, 3년… 그렇게 몇 년이 흐른 뒤에 상대에 대해 더 이상 심장박동이 미친듯이 뛰지 않는다면 그것은 사랑이 아니게 되는 것인가.

사귐, 교제라는 것은 사랑하지 않아도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중에서도 이성과의 교제는 조금 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교제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랑이라는 다른 말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일단 그것은 교제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상대방에게 좋아한다고 말하고 나서 ‘왜 나를 좋아해요?‘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나랑 닮은 구석이 있어서‘라는 다소 건조한 대답을 했다. 그러자 곧이어 ‘몇 번 만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알아요?‘라는 질문이 이어졌다.

그 질문에 ‘몇 번 만나지 않았지만 닮은 구석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만날만한 가치가 있지 않아? 서로 모르기 때문에 알려고 만나는 거 아닌가?‘라는 답변을 해 주었다.

개인적으로 결혼을 선보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하지 않는데, 필자는 선을 보았더라도 사계절은 보내고 결혼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건 서로를 알아볼 수 있는 기간을 가지자는 것이다.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채 결혼해도 잘 살 수는 있다. 하지만 그건 위험부담이 크지 않은가. 서로에 대해 서로를 향해 쏟아붓는 에너지의 무의미한 소비로 전락될 수도 있는 문제가 아닌가. 서로를 향해 에너지를 한 껏 다 쏟아내고 나서야 그 에너지의 소비가 헛되다는 것을 느꼈을 때의 감정은 허무함일까.

일단 이제 갓 시작한 그[note]남성이어서 ‘그’가 아니다.[/note]와의 사랑은 풋내로 가득하다. 조금더 이전보다도 더 절제된 조심스러운 행동과 말, 그리고 이상으로 여기는 대화가 있는 교제가 이어지기를 바라면서 글을 줄인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