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일을 만들어내는데에는 천재적이라고 자부할 만큼 지루할 틈이 없다.
지루할 틈이 없다는 건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지루하지 않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꾸준히 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건 다른 말로하면 쉴틈이 없다는 것인데, 지루한 걸 싫어하는 편이어서 뭔가 일을 만드는게 무의식적인 수준이다.
게다가 사람들이 뭔가 부탁하면 거절하지 않는 편이어서 도와줄 능력과 시간이 조금이라도 된다면 도와주겠다고 해버리니, 이거 일 = 생활 이라는 공식이 성립될 정도다.
바쁜게 좋다고는 하지만 가끔은 그렇게 쳇바퀴를 굴리는 다람쥐 같은 느낌이 들어버리면 이거 뭐하는 짓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게다가 요즘같이 학기가 시작되어 과제들이 치고 밀어 들어오는 가운데에서도 일을 만들어 버리니 스스로도 미칠 지경인 경우도 적잖이 발생해 버린다.
하지만 대부분은 감당할 정도만 일을 만들기 때문에 즐겁다. 즐겁지 않더라도 흥얼 흥얼 가만히 앉아서 일들을 처리한다.
밤새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었던 지난날의 경험들로 인해서 뭔가 붙잡으면 밤 새는건 기본이고, 다음날 일정을 잠도 없이 쭉 처리해 나가기도 한다. 하지만 이제 나이라는 것을 한 살 먹어버려서인지 적잖이 무리가 된다. 거짓말 하나 안 보태고 작년까지는 밤새 달려 놀기에도 뭔가 붙잡고 하기에도 무리 없었는데, 나이가 먹어서라기 보다는 운동의 부족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하는 것일까.
운동도 한다 한다 말만 늘어놓고는 제대로 되어지지를 않는다. 네이버로부터 퍼온 초기의 포스팅처럼 무식하게 운동할 때도 있었지만, 한번 귀찮아져버리니 쉽게 귀찬음을 떨쳐버리기가 힘들다.
뭐… 쨌든 일 하는건 즐겁지만 스스로 조금 더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절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