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에 빠져 허우적

어제는 광나루에서 모임을 가지게 되어서 모든 수업을 다 끝내고 가게 되었다. 몇 후배들이 준비를 위해 먼저 가기도 했지만, 필자는 대부분의 후배들과 함께 가게 되었다.

학번이 높아서1라고밖에 생각할 수 없지만, 여튼 조장을 맡게 되었다. 총 25개조로 편성해서 각 조에는 같은 학교 학생이 없도록 편성을 하겠다고는 했지만 학교별로 참여한 인원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그다지 고르지는 않았다.

쨌든 행사를 치르면서 이런 저런 일들이 있었는데, 이 행사에 참여하기 전날에도 잠을 거의 자지 못했다. 밤을 새고는 아침에 약 1시간 정도 잔게 전부인데다가, 학교에 가서 조교실에서 몰래 한 30여분을 잠시 잔것 말고는 거의 자지 못했다.

그런 상태에서 이 행사를 치렀는데, 무려 whole night plan이었다.

그렇게 치르고 나서 집에 오는 지하철에서 잠을 잤더니 좀 개운하다 싶어서 무료 영화가 아직도 6번이나 남은걸 생각해내고는 부천역에 있는 무료 적용되는 영화관에 들어갔다. 도착한 시간은 9시 였는데, 그 전에 여자친구가 다른 영화를 보고싶어해서 보지 못했던 두 얼굴의 여친을 보았다.

이 영화 보기 시작하고는 잠이 안 오나 싶었는데, 중간쯤부터 끝나기 10분 전까지의 기억이 없어졌다.

어느새 잠이 들어서 그 부분을 보지 못했는데, 깨고 나서 좀 걱정이 되었다. 물론 자면서 코를 곯았다거나 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었는데, 다행히 같이 영화보는 사람들은 맨 뒷줄 – 필자는 앞에서 3번째 줄 – 에 여자 2명과 남자 1명 뿐이었다. 끝나고 나서 크레딧이 오르자마자 서둘러 나가서 덜 민망하도록 만들려 했는데, 그만 모자와 물병을 두고 나온것이 생각나서 다시 들어가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3사람과 마주쳐 들어갔는데 그다지 이상한 시선은 느껴지지 않은걸로봐서 코는 곯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하는건가.

  1. 어제의 모임 중에 가장 고학번이었는데, 대부분은 2002학번 이후의 사람들이었다. 참고로 필자는 1999년도에 입학했다.[]

잠과의 전쟁..

와~ 수업시간마다 잠과 전쟁하기가 만만하지 않다.
봄도 아니고 밥 먹은지도 꽤나 되었는데도 잠이 온다는 것은 수업에 관심이 떨어져서 일거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하지만 나름대로 관심을 가지구 수업에 임하고 있음에도 머리가 멍해지고 잠이 오는 것은 무엇으로 설명해야하는 것인가.
최근들어서 이러저러한 작업들로 인해서 잠을 좀 못잔 것이 이유가 될 수 있을까? 정신력이라는 것으로 버틸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참고 있지만 오히려 참으려고 노력하는 뇌활동이 더 자게 되는 원인이 되어 버리는것은 아닐까.

잠은 언제나 생활에 장애를 가져온다.
수업시간에 졸게 되면 그 부분이 건너띄어지고 그 순간의 지식 습득 장애로 인해 이어지는 수업 내용들을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러버린다면 대박인것이다.

하아…
졸고 싶지 않은데, 졸아버리고 말아버리는 나약한 존재라는 것이 한심스러울 뿐이다.

생활 패턴이..

올빼미형으로 다시 돌아가버리는거 같아서 진정 스스로에 대해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다.
그거 하나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다니.
저녁에 탄력 받아버리면 아침까지 스트레이트로 작업해버려서 다음날 일정에 영향을 줘버리는 그런 생활이 다시 시작되려하고 있다.
군에 가면서 힘들게 –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해야만 했지만 – 바꾸었던 생활 패턴이었는데, 주일 예배 시간에 잠깐씩이지만 졸아버렸다.

꾸벅… 꾸벅…

엊그제 당회장 목사님께서 하신 말씀이 생각났다.

노무현 대통령 앞에서는 졸지도 못하고 오히려 대통령 만났다고 자랑하고 다니면서, 인간의 조물주이신 하나님 앞에 예배드리러 와서는 졸 수 있냐

는 내용으로 요약된다.
그것과 비할 비가 된다. 전부터 예배시간에 조는 것은 굉장한 고민이었다. 졸지 않기위해 허벅다리 안쪽살을 꼬집어보기도 하고, 전날 굉장히 일찍 자기도 해보았지만, 그건 쉽게 고쳐지지가 않았다. 졸지 않으려고 정신을 집중하면 오히려 뇌가 과부하 걸려 더 빨리 졸아버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거 정신과 쪽으로 상담을 받아야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에 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전역한 후로 당분간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일단 고민 일선에서는 사라졌었다. 그러나 최근들어서 다시 고민 1순위로 접어들게 되었다.

아… 어떻게 하면 졸지 않을 수 있을것인가.
허벅지도 심하게 꼬집어서 피멍까지 들어버리는데도, 왜… 왜! ㅠㅠ

요즘 내 생활이..

게으름의 정도가 점차 심해져가는 듯하여 긴장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주초에 PC 운영체제가 완전히 가버려서 새로이 복구하고, 동생 PC까지 설정해 주면서 밤샘작업이 약 3일간 지속됐는데, 그 시점으로부터 게을러지기 시작했다. 새벽까지 작업하고 아침에 잠들어서는 12시가 넘어서 일어나게 되는 생활이 금새 적응돼 버렸다. 몸이 피곤하면 아무래도 동작도 그 이전의 상쾌했던 때보다 느려지고 고로 밀려버리기 때문에 게을러져버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전에 올빼미 생활에서 변해보려고 노력한 탓에 꽤나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데 익숙해졌다고 생각했는데, 일주일도 안되는 짧은 시간에 이렇게 다시 게을러져버린 걸 보면 인간은 안 좋은 것에 금새 익숙해져버리는 것일까.

어떤 일이든지 나쁜 일을 더 먼저 배우게 되는 그런 인간일 수밖에 없는 것일까.

다시 정상 생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조금 더 일찍 잘 필요가 있다.
몇일동안 밤에 잠을 안자고 오후까지 자서인지 일어나고 나서도 꽤나 탁한 기분이 든다. 상쾌하게 일어나는 그런 느낌이 없어져 버렸다. 조금 늦게까지 작업하더라도 저녁에 제대로 잘 때는 그런걸 못 느꼈는데, 확실히 잠 못자면 여러모로 나쁜 점이 많다.

오늘 문득 든 생각인데, 시차가 심한 곳으로 이민간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얼굴이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보이는 건 평생을 한국의 시간에 맞게 밤낮 생활을 하다가 외국에 나가면서 뒤바뀌게 되고 한국의 밤 시간에 활동을 하느라 노화가 빨리 되는게 아닌가 싶다. 군대에 다녀오면 – 특히나 상황근무를 주로 서는 장교나 부사관 – 잠을 많이 못 자기 때문에 또래의 사람들보다 피부노화가 빨리 진행되어 버렸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물론 게중에는 밤새도록 제대로 근무하지 않는 사람도 있어서 고운 피부를 유지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대부분 피부가 엉망이다. 물론 선천적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사람도 있을지도 모른다.

게으름은 여러모로 일의 진행을 느려지게 만든다. 진행하고 있는 일을 열심히 하지 않으면 또 몇달이나 걸려버릴 듯 하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