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

귀찮다는 말은 우리가 일상에서 적지 않게 사용하는 말 중의 하나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어떤 계기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더러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적잖이 사용했는데, 만사가 귀찮게 여겨질 때도 있어서 어떤 것을 하던지 귀찮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던 때도 있다.

언젠가 TV에서 드라마를 보는데 극중 할머니 분을 맡은 배우에게서 나온 대사중 하나가 귀에 띄었다.

······ 귀치 않아.

어랏 저게 귀찮다는 말의 원래 말인가? 하는생각으로 금새 이어졌다. 그 당시에는 그 정도로 생각이 그쳤지만 그 후에 몇 번인가 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지금 다시 생각해 보면 귀하지 않다에서 귀치 않다를 거쳐 귀찮다로 줄어들었다고 추측된다.

귀찮다의 시작말인 귀하지 않다는 어떤 말인가. 귀하다 / 귀하지 않다는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를 가르는 말이고 가장 일반적으로는 어떤 행동에 대해 사용하고 있기에 그에 대한 가치가 낮다는 표현이다.

다른 용례는 접어 두고 이 글에서는 교회에 가는 것이 귀찮다는 것으로 글을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교회는 종교적으로는 해당 종교의 신에게 일종의 행위를 하기 위한 장소를 말한다. 불교의 경우 사찰이나 법당, 힌두교나 기타 종교에서는 신전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대상으로 예배를 드리기 위한 장소를 교회라고 한다.

교회에 가서 하는 일 중에 가장 큰 일은 예배(Worship)이다. 예배는 최고의 가치를 하나님 앞에 드리는 행위라고 일축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회에 가기 귀찮다는 말은 교회에 가는 것이 귀하지 않다는 뜻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교회에 갈 수 없는 상황에서는 귀찮다는 말을 사용할 수 없다. 귀찮아서 가지 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갈 수 있는 상황에서 귀찮다는 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에서 말한 교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행위인 예배를 귀찮아하는 것으로 이어 갈 수 있겠다. 교회에 가는 것은 대부분이 예배를 드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성경에서는 우리가 창조된 목적이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그를 위해 지음 받았다고 기록되어있다. 예배를 드리는 것은, 즉 다시 말해 최고의 가치를 드리는 것은 사람이 창조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행동을 귀하지 않다고 치부해버린다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죄가 아닐까.

교회 가기 귀찮아. -=> 교회에 가는 것이 귀하지 않다. -=> 예수 만나는 것의 가치가 적다.

교회는 모임의 장소 교제의 장소 예수와의 관계 정립의 장소.

제대로 살아야 할 이유

요즘 대통령의 고민이 깊습니다. 얼마 전 기자간담회에서 변양균 전 정책실장의 문제와 관련해 “난감하고 할 말이 없다”며
그 고뇌의 일단을 표현한 적도 있습니다.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던, 믿었던 측근의 부적절한 처신으로 인해 참여정부의 도덕성
전체가 의심받는 상황을 대통령으로서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입니다.
변 전 실장의 문제를 보고받은 대통령의 심정은 자세히 말하지 않아도 짐작이 갈 것입니다. 믿음이 무너진 허탈함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대통령을 힘들게 한 것은 온갖 어려움을 헤치며 만들어 온 참여정부의 도덕성에 대한 당당함과
자부심의 훼손일 것입니다.

위의 인용문을 보면 어떤 한 사람의 바른 사고와 행동, 지도력 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엉뚱하게도 필자는 예수의 제자들, 그리고 그를 따르는 우리들의 모습을 돌아보게 된다. 아니 정확하게는 필자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

요즘 학교 과제를 위해 책을 읽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부분을 보면서 지금 주의 자녀들인 우리들의 문제가 일이년의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을 더욱 절감하게 되었다.

1700년 하나님께서는 스콧트란드에 주목할만한 성서의 개혁자를 보내셨는데 그들이 바로 Haldane형제들이었다. … 중략 … 총회가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너무 무관심하고 그들 스스로 의롭다고 자처하는 위선에 환멸을 가지고 장로교회를 떠나 형과 함께 성서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목사 사회에 팽배한 부도덕성과 냉담을 성서를 더 많이 보급하고 가르침으로 고치고자 노력했다.

출처 : 그리스도의 교회 I (환원운동사편)1

물론 필자는 겨우 인간 따위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들의 어떤 문제가 어떻게 잘 못되었다고 정죄할 수 없다. 하나님께서 판단하실 일이기에 이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하지 않겠다.

하지만 인간으로서 지켜줘야할 법적인 문제들을 어겨가면서 일을 진행하는 것이 옳은 일인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머리 속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지난 이십여년의 짧은 생애를 살아오면서 이런 저런 교회들의 일처리에 대해 살펴보게 되었지만, 절차를 밟고 순서를 시켜가며 기다림으로 일의 처리를 하는 교회가 있는 반면에 법적인 절차를 무시하고 일단 벌이고서는 하나님께서 처리해 주시겠지라며 과도하게 진행하는 교회도 있었다.

물론 하나님께서는 다 처리할 수 있으실만한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계신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생기는 예수의 형제들, 하나님의 자녀들인 우리들의 그런 행동을 통해 우리만 욕먹고 끝나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들의 그런 법절차를 무시하는 행동들은 우리의 주인되신 하나님의 이름을 먹칠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더럽히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나 하나 잘 한다고 뭐가 달라지겠냐는 생각보다는 나 하나부터 변하고 옳바르게 행동하는 것부터 변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생각해야 할 때이다.

  1. 권인원 저 / 서울 : 문연사, 1995[]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