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에 있어서 주의할 점

워드프레스 번역에서 조심해야 할 부분 하나

한국 워드프레스 사용자 모임에 한 분이 번역으로 인해 고통이 계속되고 있다고 글을 공개했다.

잘 못 한 번역으로 생기는 일

휴~ 다행

죄송하다는 댓글을 달기 전에 왜 그렇게 했을까를 생각해보려고 5.6의 번역 문자열을 확인하러 갔다.

첫 번째 오타가 난 부분은 분명히 내가 한 번역이었다.

당시에는 GTE였기에 번역을 하면 곧바로 승인까지 이어졌기에 번역을 제안한 사람이 없이 내 이름만 등록되어 있다.

두 번째 부분을 확인하려 했는데, 다른 분이 번역을 하신 것으로 나와 있었다.

그래서 이전 버전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하려고 갔는데, 5.4판만 내가 번역한 것으로 나와 있었다.

5.4와 5.5의 경우 이미 번역이 이루어진 부분은 그대로 두고 비어 있는 부분만 5.6의 번역에서 채우는 방식으로 했기에 아마도 5.6에서 이미 되어 있던 번역이 그대로 들어간 모양이다.

5.7을 확인해보니 5.6을 번역한 분이 한 것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다.

이전 번역을 믿기

사실 이전 번역이 등록되어 있고 그에 대해 별 다른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면 다음 판에서도 같은 번역을 등록해도 문제가 없다.

그래서 이전 판에 번역이 등록되어 있다면 믿고 등록해 두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경우에는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문제가 생겼다.

원문과 다른 번역문에 있어서 새 판에 적용할 때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워드프레스만의 문제는 아니니 되도록이면 원문의 특수문자 유무를 번역문에도 철저하게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번역팀

워드프레스 한국어 번역에 관련해 자료를 찾을 수 있는 경로를 찾고 있었다.

워드프레스 공식 슬랙의 #polyglot 채널에 문의했더니 한국어 번역팀 슬랙이라면서 알려주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번역에 참여하여 번역을 제안하면서 참여하는 사람이 참 없구나 싶은 마음에 나라도 열심히 해보자는 생각으로 활동했다.

다른 경로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한 채 한 분과 뜸한 대화를 주고받으며 활동을 하다보니 GTE(General Translation Editor)가 되었다.

슬랙에서 한 분이 일괄적으로 워드프레스 5.5 번역을 하신다는 소식을 접했다.

몇 달이 지나도 감감 무소식이었다.

더 늦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번역문 전체를 일관성 있게 하기 위해 번역하여 올리고 슬랙에서 확인해달라고 요청하였다.

그런데 제안한 번역 가운데 ‘a’가 들어간 번역에 대해 ‘ㅔ’가 아닌 ‘ㅐ’로 입력한 것을 또 다시 ‘ㅔ’로 제안하는 사람이 많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확인하자마자 ‘ㅐ’로 입력한 것들을 ‘ㅔ’로 돌려놓았다.

그렇게 하고 난 뒤에 갑자기 GTE에서 이름이 빠졌다.

뭔가 문제가 있는가보다 생각하고 그냥 두었는데 몇 달이 지나도 답도 없고 공지도 없어서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워드프레스 슬랙에 한국어 번역참여자 한 분이 #polyglot 채널에 문의를 하는 것을 보고는 그 부분에 대하여 얘기하려고 들어갔더니 한국어 팀의 한 분에게 1월에 새로운 한국어 번역팀 구성을 시도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는 답변을 보게 되었다.

워드프레스 슬랙 #polyglot 채널의 대화 중 일부

그래서 검색해보니 한국 워드프레스 사용자 페이스북 그룹이 있기에 찾아 들어가보니 1월에 그 일에 대하여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워드프레스 한국어 번역팀 슬랙에서 찾을 수 없었던 ‘이유’를 한국 워드프레스 사용자 그룹에 가서야 발견할 수 있었다.

여튼 슬랙이 한국어 번역팀 공식 채널로 알려져 있는데 그렇게나 활동이 없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못한 나의 둔함 때문에 벌어진 일이니 누굴탓하랴?

혹시라도 번역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슬랙보다는 페이스북 그룹에 가입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워드프레스 5.6 한국어 번역 제공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번역에서 아쉬운 점은 일관성이다.

여러 사람이 번역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는 완벽할 수는 없으니 개인적으로 일관성 있는 표현으로 정리한 번역을 제공하고자 한다.

곧 있으면 5.7이 출시하는데, 이 번역을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번역을 계속 제공하려고 한다.

워드프레스 5.6 한국어 번역

물론 개인이 번역하였으니 모자란 점이 분명히 있을 것이고 이상한 점도 있을 것이다.

문제가 있으면 로그인하여 알려주기 바란다.1

직접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면 압축 파일을 풀어 워드프레스 설치한 폴더(디렉토리)에 있는 wp-content의 languages에 복사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 번역은 익숙한 표현들의 상당 부분이 다르다는 사실을 고지한다.2

  1. 익명으로 제보하는 것도 좋지만, 이 사이트는 로그인한 사용자에게만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였다. 어떻게든 달아 놓은 것은 보겠지만, 개인적으로 확인만 하고 승인은 하지 않을 생각이다.[]
  2. 업데이트 > 업대이트, 데이터베이스 > 대이터배이스, 페이지 > 패이지, 이메일 > 이매일…[]

포에디트로 워드프레스 번역할 때 SFTP로 ‘서버에 접속’을 이용하려면 이 IP를 추가하세요

워드프레스 커뮤니티에서 번역을 시작했을 때, 번역 파일을 직접 내려받아 편집하려고 PoEdit(포에디트)를 사용했다. 플러그인 번역에 조금 더 열정을 가지게 되면서 프로판을 사서 운영하고 있는 워드프레스에 설치된 플러그인을 하나씩 번역하려고 했다.

처음에는 PC에 서버를 돌려서 해 보려고 했는데, ‘서버에 연결’ 방식으로는 내부 서버에 접속이 안 되었다. 이유는 기억이 안 나지만 몇 번 여러가지1로 시도했지만 되지 않아서, 이 블로그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 접속을 시도했다.

하지만 무슨 일인지 접속이 되지 않았다. 로그를 보면 접근 시도는 하는데, 인증이 되지 않았다. 개발자에게 문의를 해 보았더니 ‘서버에 연결’을 시도하는 PC에서 바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포에디트 서버에서 인증 정보를 전달 받아 접속하는 것이기에, 포에디트 서버의 주소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면 된다고 했다.2

이 블로그는 우분투 18.04에 LEMP 스택으로 운영하는 서버에 있는데, 서버를 ssh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해 두었다. 외부에서 이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ssh만 열어 놓았다는 말이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ssh 포트로만 제한하고, 인스턴스 규칙과 방화벽(ufw) 규칙에 접근 가능한 IP를 제한해 두는 방식으로 보안을 강화해 놓았다.3

IP는 auditd를 설치하고, 포에디트의 ‘서버에 연결’을 시도하여, 접근하는 IP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알아내었다. 이렇게 확인된 IP는 172.104.150.128이다. 혹시 포에디트 워드프레스 번역의 서버 접속이 안 된다면 이 IP를 방화벽 규칙에 허용해 주면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hosts에서 일반 도메인 형식으로 설정도 해 보았지만 안 되었다[]
  2. 포에디트 개발자를 믿지 못하겠으면 안 하면 그만 이지만, 이 블로그의 자료는 수시로 백업이 되고 있어서 다 털어봤자 별로 중요한 내용을 건져갈 것도 없다[]
  3. 이 전에 별도의 규칙을 해 두지 않았더니 웬 듣보잡 해커놈이 들어와서 db와 cpu 자원을 마구 괴롭힌 경험을 한 뒤로 이렇게 강화하게 되었다. 이렇게 접근 ip를 제한하는 것 만으로도 장난질을 방지할 수 있다.[]

Fluency에서 Dynamic Value입력

CAT은 Computer-Assisted Translation의 줄임말인데,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번역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면 된다. 연결된 사이트에서 Fluency 구매할 때 쓸 수 있는 할인 쿠폰을 구할 수도 있다.

CAT 도구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몇 년 전이다. Th. M과정을 들어갔는데, 가서 번역하는데 쓰는 시간이 대부분이었다. 그냥 읽고 이해하는 것은 사전 찾아가면서 하면 되겠는데, 이걸 또 페이퍼로 내야 하니 대충할 수도 없었다.

그러다가 지인을 통해 알게 된 친구가 번역을 하고 있는데, 요즘(?)은 번역을 무식하게 하지 않는다며 소개한 것이 CAT 도구였다. 다양한 도구가 있다는 설명을 듣고 몇 가지 이름을 들었는데, 지금은 기억이 나질 않는다.

여튼 그 직후에 멘탈 터지는 일이 있어서 한 학기를 어찌 끝냈는지도 모르겠고, 몇 년의 시간이 흐르고 나서 최근에 다시 공부를 시작하면서 Fluency Now를 구매하였다.

Fluency는 CAT 도구이다. 다른 도구도 마찬가지겠지만 Fluency에서는 웹사이트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View > Online Resources 에서 활성화 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도 다른 사이트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등록된 사이트는 용어(Terminology)에서 선택할 때 활성화 된 탭에 바로 검색이 이루어진다.

Terminology(용어)탭
Fluency Now의 Terminology탭

선택 영역을 만들고 Ctrl + D를 눌러 검색할 수 있는 모든 창에서 검색하도록 만들 수도 있는데, 이 때에도 활성화된 탭에서 검색 결과를 바로 볼 수 있다.

별도의 창에 나타난 검색결과(Machine Translation은 선택된 원문의 번역 결과만 나타난다)

집에서는 듀얼 모니터를 쓰고 있어서 별도의 창으로 빼 놓고 결과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네이버의 경우에는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다른 사이트의 검색 결과를 보고 싶을 때는 따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Tools > Preferences…를 차례대로 선택해 주면 환경설정창이 나타나는데, 여러 탭 가운데 Website settings를 선택하면 다음의 화면이 나타난다.

Website Settings탭

여기에 설정을 하면 되는데, 처음에 보고 Dynamic Value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Help > User Manual…을 선택하여 열리는 PDF 파일에서 Dynamic Value를 검색했더니 다음과 같이 안내되어 있었다.

Dynamic Value (new): This option allows you to place a code in the URL, which Fluency will replace with the term or phrase you are searching for. For example, consider the Google URL below in which “bird” is the query:
• https://www.google.com/?gws_rd=ssl#q=bird
• Now we replace “bird” with “###”: https://www.google.com/?gws_rd=ssl#q=###
• And place “###” in Dynamic Value, instructing Fluency to swap out ### in the Google query with current term or phrase of interest

Documentation.pdf@Fluency Now

처음에 이 설명을 대충 보고는 ‘내가 뭘 보고 있는거지?’라는 생각을 했다. ‘#’이 ssl다음에도 하나 짜리가 있고, q=다음에도 있어서 잠시 고민하다가 다시 찬찬히 읽어보고는 ###과 같이 Dynamic Value에 들어간 문자를 URL에 있는 검색어 자리에 같은 문자를 넣어서 설정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참 말로 하니까 겁나 바보 같은데, 딴에는 몇 분동안 머리 속에 폭풍이 휘몰아쳤다.

구글에서 ‘새’를 검색하고 나온 주소를 그대로 URL에 붙여 넣고, 검색어로 넣은 ‘새’를 그대로 Dynamic Value에 넣어주어도 동작한다. 같은 방식으로 다음 어학사전에서 ‘검색어’라고 입력하여 보았다.

다음 어학사전에 ‘검색어’를 입력한 결과

그리고 여기에서 얻은 주소를 그대로 URL 창에 갖다 붙이고, Dynamic Value에 검색어라고 입력하니까 바로 검색이 되었다.

Website settings에 Dynamic Value를 적용한 화면

Fluency Now 는 월 구독료를 결제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평가판(Trial Version)도 있으니 무료로 다운받아서 사용해 볼 수 있다. 물론 월 구독 방식이라 필요가 없어진다면, 구독을 취소하고 제거하면 된다.

그냥 읽고 이해하면 되는 정도라면 CAT 도구까지 쓸 필요는 없겠지만, 매 주 번역하여 페이퍼를 제출해야 한다면 한번 쯤 고려해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물론 금액은 잘 알려진 다른 CAT 도구에 비해서 파격적으로 싸지만, 매 달 나가는 것이니 전문적으로 번역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부담이 될 수도 있는 가격이다.1

※ 추가

여기까지 읽어주신 분들에게는 보너스가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URL에 붙이셔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검색을 이용해보세요.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searchKeyword=검색어

사이트 이름에는 원하시는 명칭을, Dynamic Value에는 ‘검색어’를 입력하시고요.

빙 번역은 다음과 같이 주소를 입력하시면 되요.

https://www.bing.com/translator?sl=en&tl=ko&text=검색어

지금 이 주소는 영어에서 한국어로 검색어를 번역하라는 주소입니다.

위의 주소는 원 언어와 번역 언어를 설정하지 않으려면 물음표(?) 뒤에 굵게 표시된 부분을 제거하고 ‘text=검색어’만 남겨두시면 원 언어를 자동 감지하여 마지막에 사용한 번역 언어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1. 위의 링크를 통해 얻은 할인 쿠폰을 적용해도 한화로 1만 5천원 정도를 결제해야 한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