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보다는 상황에 대한…

2007/10/27 – [나의/일상] – 소닌(성선임) 양의 감정을 통해 눈물을 흘리는 필자이지만 어제는 냉정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무슨 소리인가하면 어제 학교에서 수업을 모두 마치고 지하철을 타기위해 응암역으로 들어갔는데 응암역 근처에 있는 신사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인간관계에 대한 설문을 하고, 점검해 주는 행사(?)를 했다.

그래서 시간이 조금 밖에 안 걸릴 듯해서 시작했는데, 검사지에 응답을 하고 응답한 항목들의 수를 세어 적어 담당자의 앞에 갔더니 A, B, C, D, E항목을 보면서 풀이해주었다.

전부 이야기해주지 않고, 제일 낮은(1개) A항목과 굉장히 높은 편(8개)에 속하는 D와 E항목에 대해서만 이야기해 주었는데, 필자가 예상하기로는 A는 남을 배려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고, D와 E항목은 남에게 얼마나 냉정하게 대하는가에 대한 것 같았다.

D항목은 무려 8개나 나왔는데 이 항목을 이야기하면서 감정보다는 상황을 중심으로 한 행동과 판단을 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필요할 때도 있지만 그들을 배려해 줄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그 이야기를 듣는데 아! 내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싶었다.

물론 이런 성격이 된 것은 스스로에 대해 적극적인 사람이 되고 싶어했던 지난날의 바람이 심하게 이루어진 탓이라고 해야할 듯 싶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MBTI를 했을 때 분명히 I형으로 나왔었지만 최근의 성향에서는 E형으로 나왔다는 사실을 통해 성격이 변했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되새김하였다.

고등학교에 접어들면서 내성적이고 수동적인 성격을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노력해 왔는데 결국엔 성격이 바뀌어서 지금의 복학한 학교생활에서 필자가 내성적이었다는 것을 알거나 믿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이다. 소심하고 내성적인 사람이 아니기 위해서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말하기 위해서는 직선적인 것이 필요했고 그런 성향은 점차 스스로를 변화시켰다.

결국엔 위의 사회복지관의 검사의 결과와 같은 평가가 나온 것이다. 어제(26일) 집에 와서 바로쓸 생각이었지만 뭔가 내키지 않았다. 스스로가 그런 사람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다는 것은 필자가 다시 남을 배려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결심의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해도 무관하다.

지금의 외향성으로 변할 수 있었던 것 처럼 말이다.

소닌(성선임) 양의 감정

필자는 어떤 블로그를 구독하고자 할 때 리더에 등록하기 전에 그 블로그에서 가장 처음 작성했던 글부터 최근의 글까지 모두 읽는 습관이 있다.

물론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그 블로거가 쓰는 말들에 대해 이해하고 아는 것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필자는 다르게 생각한다. 블로거의 글을 읽는 것에는 그 사람이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말들을 해 왔는지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고, 또 오해까지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리더에 등록하기 위해 읽고 있는 블로그는 Don’t Lose Faith!ENTClic@blog…just another day이다.

보통은 그동안 올린 글들을 읽으며 느낀 것들을 별도로 포스팅하거나 댓글을 달지 않는데, 이유는 너무 오래 전의 포스팅일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 Don’t Lose Faith!에서 사랑할 수 밖에 없는 그녀 – Sonim 성선임 스토리를 읽으면서 이 재일한국인 교포 – 물론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그것은 그녀가 부른 I love you의 무비클립 때문이다.

동물에게는 감정이 있다. 그 중 특히나 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감정을 가지고 있는 인간은 무생물에게서도 어떤 감정을 가지고는 한다.

글을 이어가기 전에 필자의 경험을 하나 적자면, 이전에 사귀었던 여자친구 중에 어떤 이유로 이별을 고할 일이 있었다. 그 당시 필자는 그다지 많은 연애 경험을 가지고 있지도 않았고 감정을 숨기는데 그다지 능숙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왜냐하면 이별을 고하면서 냉정하게 연기했지만 그녀는 필자의 속마음을 알아채고는 아니라는 걸 알고 있어 식의 발언을 했다. 너무도 놀란 나머지 여하튼 니가 싫어졌어 라며 전화를 끊고 울어버렸던 적이 있다.

왜 이 이야기를 하냐면 그 동안 I love you 의 원곡을 듣기도하고 한국에서 부른 것도 들어왔지만 선임양이 부를 그 곡의 클립을 보면서 눈물을 글썽였기 때문이다. 한 번 뿐이었더라면 순간적으로 감정이 그렇게 되었나하고 생각하겠지만 링크를 따라 다른 글을 통해 클립을 보는데 다시 한번 눈물을 그렁이게 되었다.

선임양이 곡을 부르면서 가졌을 그 감정을 클립을 통해 전해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가 최홍만의 승리 소식을 접하면서, 그리고 판문점의 38도 선을 넘으면서 흘렸던 눈물은 거짓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결정적인 사건이기 때문이 포스팅 중이다.

사람의 진심은 언제나 어디서나 통하게 마련이다. 그 사람이 그 진심을 숨기고 연기하려고 한다더라도 말이다.

사진은 찍는 사람의 감정도 담는다.

한 동안 셔터를 누르지 못했다를 보면 “사진은 사진을 찍는 사람의 감정이 투영된다“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 표정 정말 맞는 표현이다.

사진은 사진을 찍는 사람의 감정이 투영된다고 한다.

또한 카메라의 뷰파인더로 어떤 대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그 대상과 어떠한 형태로 교류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중략)

상황이 끝나고 임시 편집실에 오자마자 안선배가 찍어 온 사진을 보았다.
사진이 나빴다. 안선배 사진 답지않게 사진이 너무 나빴다.
대부분 초점이 맞지 않았고, 구도도 심하게 불안정했다.

출처 : 시사저널 거리 편집국 – 한 동안 셔터를 누르지 못했다

원래 사진을 시작하게 된 것은 중학교 때 특활시간에 사진부 활동을 시작하면서, 세상을 다 담고 싶다는 소망에서부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저런 소소한 사진들을 주제에 상관없이 찍어왔다.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들조차 피사체가 될 수 있었다. 다시 사진기를 잡기 시작한 것이 처음 디지털 카메라를 샀던 때였는데, 그 때는 풍경사진을 찍기를 좋아했다.

정말 똑딱이(COOLPIX E775)로 좋은 사진을 많이 찍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올해 초에 행사사진을 찍으면서 정말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들이 잔뜩 생기기 시작했다. 초점은 물론이고 구도도 엉망이었다. 심지어는 화밸1조차 맞지 않은 사진이 있었다.

카메라는 분명 처음 사용했던 똑딱이보다 좋은 카메라(D70)인데도, 결과물은 엉망인게 이상하게 여겨졌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 결과물들이 말해주는 필자를 들을 수 있었다.

행사사진이라고 해 봐야 소속해 있는 집단에서 하는 집회 정도뿐인데, 그들과 다른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들이 필자에게 어떤 해코지나 괴롭힘을 행한것도 아닌데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 전처럼 다가가서 말하고 인사조차도 하기 힘들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진을 찍는 사람이 필자뿐이었기 때문에 사진을 찍는 것을 그만 둘 수는 없었고, 그 집단에서도 필자의 사진을 좋아하고 원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깨닫고 난 뒤로부터는 다시 그들에 대해 애정을 갖기를 노력했다. 사람 마음이라는게 어떻게 가지느냐에 따라 행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는 경험이었다.

최근에도 초점이 맞지 않는다거나 자동초점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는 기능상의 이유로 사진품질이 좀 떨어졌지만, 그래도 그들에 대한 애정이 있어서인지 이전에 그 때보다 더 좋은 사진이라는 것을 대번에 알 수 있는 사진들이 나온다.

이런 경험이 있어서인지 시사저널 거리 편집국 사람들의 마음이 전해져와서 씁쓸함이 느껴졌다.

  1. 화이트 밸런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