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

노아는 이렇게 이상한 배를 만들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대단한 순종이다. 우리들은 믿을 수 있는 것만을 믿으려고 한다. 우리는 이성을 설득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하거나 부정한다. 하나님이 세상을 다스리시는 신비에 대해 무지하며, 하나님의 주권 앞에 내 생각을 내려놓는 것에도 인색하다.

출처 : 채워주심1

순종이라는 것은 사실 대단히 힘든 일이다.

장담하지만 당신들이 이성적으로 믿을 수 없는 이 하나님을 믿으면서 당신들보다 잘 살 수 있다. 물론 당신들은 보이는 것만 보고 판단하겠지만 말이다.

  1. 이상혁, 채워주심, (서울 : 규장, 2007), p.211.[]

내려놓음

먼저 이 글은 개신교인의 입장에서 작성한 글이며, 개신교인이 아닌 경우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개신교인이라 하더라도 이성적으로만 접근하려고 하는 시도로는 수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부디 자신의 이해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된다면 읽지 않거나 읽기를 중단 하기를 권한다. 읽더라도 이에 대한 비난은 정중히 거절하는 바이다.

하나님 앞에 온전히 내려 놓기
내려놓는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내 눈에 보이고 내 손에 잡히는 명백한 실체가 있는데, 이러한 알토란 같은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내려놓아야 할 것이 내 눈물과 내 피가 섞인 것일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코 내려놓지 못한다. 더 좋은 것을 기대하며 잠시 내려놓는다고 해도 언제라도 수틀리면 다시 집어들 생각을 하며 손닿는 가까운 곳에 둔다.
내려놓음이란 믿음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눈물의 헌신이다. 하나님을 믿는 마음이 없으면 절대 내려놓지 못한다. 하나님은 내려놓는 우리의 손길이 떨리고 있는지 아니면 추호의 흔들림이 없는지도 보시는 분이시다.

채워주심1

내려놓음이란 이런 것이다. 에서 언급한 나아만 장군도 자신의 권위와 고집을 내려놓았을 때에 문둥병을 고침 받았다.

최근의 내게 내려놓음이란 상호작용이다.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 활동하던 선교단에서의 활동들을 내려놓고, 이성교제도 내려놓았다.

이성교제의 문제에 있어서는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에게도 이해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렇게 내려놓아야만 할 때가 있다. 둘 중의 어느 쪽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도 그렇지만,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서 그럴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면 그것에 순종하고 따를 때 더 나은 상황과 여건으로 변화시켜 주셨던 경험을 기억하고 다시금 자신을 정비해야 한다.

사실 고민할 것도 없이 순종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결국 하나님께 부름받기 시작하면 그의 부르심에 응답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는 분명하게 정리가 되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사람들과의 문제에 있어서는 정리가 분명하지 않다.

선교단의 문제만 하더라도 지금까지 해 왔던 사역을 이어받아 줄 사람이 없다.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관련 업무를 담당할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더 그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을 위해 기도하면서 하나님께서 이해시켜주시고 인도해주실 것이라는 소망을 가진다.

  1. 이상혁, 채워주심, (서울 : 규장, 2007), pp.144-145.[]

추격자

일단 아는 동생에게 보냈던 감상을 옮겨보자면

ㅅㅂㄹㅁ

이다.

솔직히 영화에 대한 기대는 하지 않았다. 영화를 보기 전에 감독과의 인터뷰를 읽었기 때문이다. 내용 중에 유영철 영등포 부녀자 연쇄살인사건에서 동기를 얻은 부분이 없지 않다고 하는 부분을 읽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볼 생각도 하지 않았는데, 친구 부부 – 부부가 모두 친구다 – 가 이사를 하는데 도와달라고해서 갔다가 얼른 옮겨주고는 그 집에서 시간을 좀 보내고 있었는데, 뭔가 급작스럽게 이야기가 흘러가더니 영화를 보는 것으로 정해졌다.

토요일에는 대학 입학 동기 친구 결혼식에 갔다가 결혼식에 참석한 대학 동기들과 영화를 보러 갔었는데, 무려 점퍼였다. 나름 그것도 재미있었지만 조금은 뻔한 스토리여서 그다지 재미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오늘 본 추격자는 꽤나 재미있었다. 전직 경찰이었던 그 아저씨도 적절한 배역이었고, 끝까지 죽지 않고 살아남을 듯 했던 아이 엄마도 괜찮았지만, 웬지 범죄자 녀석은 조금 미스였다고 생각한다.

이런 저런 근거를 말해가면서하면 좋겠지만 일단은 조금 피곤하다.

하지만 그 녀석이 맡았던 역의 그 놈은 정말 ㅅㅂㄹㅁ다.

맥북에어 광고 음악

맥북 에어를 서류봉투에서 꺼내는 홍보영상에 대한 소식을 여기 저기서 들었지만 그 사실 보다는 배경음악에 관심이 더 많았다.

맥북 에어 홍보영상 배경에 깔린 음악을 검색해 봤지만 나오지 않아서 대충 들리는 단어들을 나열했더니 구글이 뱉어내주었다.

Song lyrics | New Soul lyrics]

곡도 참 재미있게 느껴졌었는데, 뮤직비디오도 뭔가 획기적이지는 않지만 재미있다.

once


Glen Hansard – Falling Slowly Lyrics



I don’t know you


But I want you


All the more for that


Words fall through me


And always fool me


And I can’t react


And games that never amount


To more than they’re meant


Will play themselves out



Take this sinking boat and point it home


We’ve still got time


Raise your hopeful voice you have a choice


You’ve made it now



Falling slowly, eyes that know me


And I can’t go back


Moods that take me and erase me


And I’m painted black


You have suffered enough


And warred with yourself


It’s time that you won



Take this sinking boat and point it home


We’ve still got time


Raise your hopeful voice you had a choice


You’ve made it now



Take this sinking boat and point it home


We’ve still got time


Raise your hopeful voice you had a choice


You’ve made it now


Falling slowly sing your melody


I’ll sing along

출처 : ST Lyrics

영화 원스를 보고 싶어하는 친구들이 많아 이번 졸업여행 기간동안 볼 수 있기를 바라면서 받아서 외장하드에 넣어갔다.

하지만 받은 파일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갔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은 그곳에서는 다른 영화들을 볼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집에 와서 제대로 된 것을 받아서 볼 수 밖에 없었다.

그녀와 함께 차 속에서 노트북으로 보게 되었는데, 영화에 대한 느낌은 대체적으로 차분했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이 바로 위에 적힌 가사의 곡이다.

두 사람이 결국에는 함께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그 둘의 음악이라는 공통관심사를 통해 가지게 된 평생에 기억에 남을 만한 추억을 가진 것으로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함께 영화를 보면서 그녀와의 사이에서 그런 추억을 만드는 관계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졌다. 영화를 보면서 슬픈 현실에 눈물을 찔끔 흘리기도 했는데, 다행히 그녀의 무릎에 누워서 봤기 때문에 그녀에게 들키지는 않았다.

슬픈 현실을 극복하고 아름다운 사람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머리가 가득 차올랐다.

북코스모스 12호

올해 중반 쯤엔가 학교에 북코스모스라는 신문이 배포되고 있었다. 북코스모스의 존재는 이미 아버지로부터 알게 되었지만, 집에서 더 이상 구독하지 않게 되어서 잠시 잊고 있었다.

그러다가 학교에 신문형태로 배포되는 것을 통해 다시 기억하게 되었는데, 구독하던 것보다는 못하지만 나름 몇 권의 책들의 다이제스트 부분만이라도 요약되어있는 부분으로 대략의 책 내용을 미리보기 할 수 있게 됐다.

개강을 한 후 학교에 자리잡혀 있는 것을 집어들고 집으로 오는 길을 나섰다.

그리고 한가한 버스에서 읽기 시작했다. 읽으면서 줄 쳐두었던 부분을 남겨본다.

육일약국 갑시다 / 김성오 / 21세기 북스

한 사람이라도 불이 켜진 간판을 보고 약국을 인식하면 그것으로 족했다.
변두리 조그만 약국을 경영하더라도 경제의 흐름을 보는 눈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경제 신문을 신청했다.
고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눈높이 식의 맞춤 상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는 것이 꼭 금전이거나 물질일 필요는 없다.
자영업자는 먹고살기 위해 일을 만든다1
꿈을 이루는 단 하나의 방법은 발로 뛰는 것이다.
계급사회에서 윗사람을 변화시킬 수는 없었지만 나부터 정직을 실천함으로써 잘못된 관행을 근절시키겠다는 의도였다.
오래도록 쌓은 신용은 다른 사람이 훔쳐갈 수도, 빼앗을 수도 없는 성공의 필수 요건이며 실패하더라도 재기할 수 있는 큰 밑천이 된다.
곡 필요한 부품인데 쉽게 맡으려는 업체가 없어서 골치 아팠는데 스스로 주문을 받아가니 그쪽에서 먼저 돈이 되는 아이템을 챙겨주기 시작했다.
정직과 자립을 기반으로 엄격한 기독교 교육을 시켰다.
언제나 당신의 자식이 나눠주고 베푸는 자가 되도록 기도하셨다.
“자만심을 버리자. 내가 명문대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지금 이 순간부터 잊어버리자.”
현재 모습만 보고 불손하게 대하는 것은 ‘내게 오는 복을 쫓아버리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하셨다.

사랑의 빵을 들고 땅 끝까지 / 이윤구 / 아름다운사람들

밖의 힘으로 구호를 받는 것은 백 년이 가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합니다.
아프리카 여러 나라 중 우리와 닮은 점이 많은 나라는 소말리아입니다. 식민지 시대의 희생양이었다는 점도 그렇고 냉전시대에 미, 소 양대세력의 충돌로 많은 피를 흘린 역사도 그렇습니다.
제가 월드비전 한국의 맏머슴을 한 기간이 2190일의 낮과 밤이었습니다2

세브란스 드림 스토리 / 이철 / 꽃삽

바닷물이 썩지 않는 이유는 2.7퍼센트의 소금 때문이라고 한다. 2.7퍼센트의 염분이 있기 때문에 97퍼센트의 물이 썩지 않는다는 것이다. 건강한 소수가 전체 조직을 썩지 않게 한다. 헌신한 소수가 시작한 작은 일이 나중에 큰 역사를 이루어내는 걸 나는 많이 보아왔다. 헌신한 소수가 역사를 바꾼다는 것을 나는 믿는다!

북코스모스를 읽으면서 관심이 가는 책들은 체크해 두었다가 종강하고나면 꼭 읽어볼 생각이다. 아~ 사랑스러운 책들이여!

  1. 이 부분을 보면서 행정보급관들은 자영업자도 아닌데 왜 그렇게도 일을 만들까라는 생각과 함께 실적과 연상하여 이런 저런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2. 맏머슴이라는 단어가 특히나 눈에 띄었다. 회장이 맏머슴이면 그 아래사람들도 머슴처럼 섬기는 마음가짐일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월드비전이라는 단체에서 일하고 있는 후배가 계속 생각났다.[]

혼자 영화보기

개봉일에 보려다가 오늘 아침 조조로 5천 원 내고 봤습니다. 뭔 카드 있으면 더 할인해 준다는데 없어서 나 홀로 관객이 되어 1개 관 통째로 전세 내서 혼자 즐겼습니다.

필자는 혼자 영화 보는 일이 잦은데, 여자친구가 생기고 나서도 계속되고 있다. 먼저는 여자친구와의 만남이 절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고, 둘 째는 같이 보려 해도 취향이 다르기에 보지 못하는 영화들이 있기 때문이다.

주로 혼자 볼 때는 무료 영화를 이용하고는 하는데, 부천역에 무료 적용 영화관이 있어서 그마저도 가끔씩이다.

최근에는 이상하게 여유가 생겨서 두 번이나 혼자 영화를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는데, 두 얼굴의 여친과 내니 다이어리이다.

두 얼굴의 여친을 볼 때는 전날과 그 전날까지 밤을 새고 몇 시간을 자지 못한 상태에서 봐서 중간에 자버렸다. <2007/09/29 – [나의/일상] – 잠에 빠져 허우적>

하지만 다른 한 편은 수업이 일찍 끝나고 여자친구의 수업도 시험 때문에 일찍 끝난 날에 잠시 만나고 나서 봤기 때문에 피로도 없고 처음부터 끝까지 그럭 저럭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아! 여기서 하고 싶었던 말은 제일 위에 있는 감상 후기에서도 언급되는 혼자보기이다. 타인이 동행하지 않은 혼자가 아니라, 상영관 내에 같은 시간에 혼자 보는 것을 말한다.

영화를 혼자 보려고 조조를 일부러 찾아가 보기도 하고 인기 없는 – 비교적 사람들이 없어 한산한 – 상영관이나 시간대를 생각해서 찾아가봐도 항상 누군가와 같이 보게 된다.

언젠가 한 번 기회가 되서 혼자 앉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화려한 휴가

수능 보기 전에 마지막으로 여자친구와 만나면서 영화를 예매했다. 그녀가 필자와 보기 위해 친구들과 보지 않았던 화려한 휴가다.

화려한 휴가는 1980년에 광주에서 일어났던 특전사와 광주시민의 대결(!)이야기다. 이런 정도로 설명을 줄여놓으면 화낼 사람도 있겠는데 참고로 말해두지만 필자는 1980년 6월 3일에 태어날 예정이었고, 그로부터 한 달 뒤인 7월 3일에 무려 광주통합병원에서 태어났다.

당시 광주국군통합병원의 위치는 지금의 서구 화정동인데, 광주통합병원 부지 시민공원으로라는 기사에 따르면

광주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국군광주병원은 부지면적 약 3만3000평으로, 지난 64년 현 위치에 건립돼 오는 2005년 12월
함평군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국국통합병원은 80년 5월 22일 소위 “통합병원 통로확보를 위한 축출작전”이라는 이름으로
신학대학 앞에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있던 계엄군 20사단이 탱크를 앞세우고 진입하면서 주택가를 향한 무차별 사격이 이뤄진 장소다.

당시 군 상황일지에는 ‘성과로 사살 3, 체포 25, 부상 10’으로 기록돼 있다. 또 당시 전남지사가 보사부장관에게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5월 29일 현재 국군 통합병원에서 사망 9명 중상 87명 경상 41명 총 137명”으로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고 기록되어있다.

어머님의 말씀으로는 당시 광주에서 태어날 아이들이 1개월 전후로 늦게 태어났다고 한다. 아마도 광주사태로 인해 놀라서였을까.

쨌든 주요 전장이었던 금남로와의 거리는 대략 이요원이 원정출산이 어쩌구 하는데, 그런 이야기는 이 영화에 대한 모독이라고 생각된다. 영화배우는 단순히

··· 까지 살아있고 이 뒤로는 데이터베이스 이동 중에 사라짐

사람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

허니와 클로버 15화 중후반부

나는 태어나 처음으로 사람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를 들었다. by 마야마

사람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를 들었다는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의 대사일 뿐인데, 이게 굉장히 마음을 울린다. 난 그 동안 얼마나 사람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들을 지나쳐왔을까, 아무렇지도 않은 행동이나 말을 통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를 내도록 만들었을까 싶은 생각으로 이어진다.

사람의 마음이 부서져 내릴 때 어떤 소리를 내는지 알지 못하는데다가 그것을 들을만한 역량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필자의 마음이 부서지는 소리 또한 듣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

과연… 그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일까 저 등장인물은… 단지 비유일 뿐인건지도 모르고 은유적인 표현일 뿐일 수도 있지만 그런 소리를 듣고 싶지는 않다.

필자의 마음에서부터이든지 다른 누구의 마음에서부터이든지 말이다.

그래서 조금 더 조심스러울 뿐이다.

60%까지는 재미있었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내용을 미리 알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감상에 방해를 받으실 수 있는 분들은 뒤로 돌아가시거나 창을 닫아주시면 되겠습니다.

어제 아는 꼬맹이로부터 10시가 넘은 시간에 뜬금없이 전화가 왔다.

자기 동아리 선배가 학교에 놀러왔는데, 그 선배가 당첨된 영화 시사회에 못 가게 되어서 표를 받았다고 같이 보러갈 수 있느냐는 내용이었다. 물론 영화를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하고는 오늘 오후 7시에 그 녀석의 집 근처 지하철 역에서 만나기로 하였다. 퇴근시간이어서 차가 많이 막혔는데, 그 때문에 8시에 시작하는 것을 처음부터 보지 못하게 되어 약 20분 가량의 처음 부분을 감상하지 못했지만 전반적으로 내용 이해에 무리가 되지는 않았다.

그저 시사회 장소에 대한 정보만 간단히 검색하고는 잤기 때문에 영화가 어떤 내용인지, 누가 등장인물인지도 확인하지 않았는데 어딘가 익숙한 사람들이 나오고 있었다.

여자 주인공은 마샤 왓타나파니크는 처음엔 혼혈처럼 느껴졌는데,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태국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영화 전반에 걸쳐 한국에 대한 대사들이 마치 우리가 미국을 말하는 듯한 투였는데, 보통 거슬리는게 아니었다. 물론 한국이라는 나라가 의료분야에 있어서 태국보다 나은면이 있기는 하지만 의도적으로 넣은 것처럼 생각되었다. 이는 심증일 뿐 어떤 확증이 없다.

샴 쌍둥이로 태어난 핌과 플로이가 15세에 수술 중에 죽었다고 나오는데, 영화 후반부에 가면 플로이가 핌을 죽이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 저것 영화들을 섞어놓은 듯한 이미지가 강했다. 그런대로 60%정도의 시간이 지났을 때만해도 그런 생각이 들지 않았는데, 그 이후 부분에 있어서는 미져리, 장화홍련, 그루지 이 세 작품이 연상되었다.

그리고 극장에 비치되어있는 영화를 소개하는 팜플에서 두 사람을 합성해 놓았는데, 영화 중 그녀들은 위만 붙어있는 상태인데, 이 종이에는 팔부터 힙부분까지 붙어있는 듯이 합성을 해 놓았는데, 뭐.. 영화를 감상하는데는 무리가 없으려나!?

순간 순간 놀랄 수 있도록 음향이나 시각 효과를 적절히 사용하기는 했지만 마치 기존의 영화를 조합해 놓은 듯한 인상으로 그다지 좋은 평은 줄 수가 없다.

공식 홈페이지

바닷가에서 무한 모양을 그리고 있는 쌍둥이

초속 5cm 벗꽃초

아~ 정말 신카이 마코도씨 작품이구나! 싶었다.

감상하기 전에 약간의 정보들과 스틸 샷과 실사를 비교해 놓은 자료를 접해서인지 영상들은 그다지 이질감이 없었다.

아카리와 타카기와의 풋내가 그리움을 자아냈다. 내 첫사랑, 첫키스….

타카기가 키스 이후에 세상이 달라졌다고 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느정도 공감이 되었다. 왜냐하면 정말 첫 키스에 있어서는 특별한 느낌이 남아있기 때문이었다.

두 사람이 나무 아래에세 만남
힘껏 달려가 역에서 만난 두 사람이 도시락을 먹고 있다

종소리가 들린다거나 하지는 않았지만, 분명 달콤했기 때문이다. 너무 달콤해서 마치 그녀가 입술에 뭔가 바르지 않았을까, 달달한 키스 직전에 먹은것은 아닐까 싶은 착각마저도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녀와의 사랑은 오래가지 않았다.

내 생에 있어서 정말 진정한 첫사랑은 누구일까… 짝사랑은 첫 사랑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마음에 열정을 가졌다고 그것이 모두 사랑인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한쪽으로의 사랑은 집착에 가깝다. 사랑은 조금이라도 상호작용이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 생에 최고의 열정을 품었던 사랑이기 때문에 배신감도 컸지만, 그리움도 그 이상이다. 이미 다른 남자의 안사람이 되어버렸지만 여전히 그 때의 애틋함은 가슴속에서 숨쉬고 심장이 뛰게 만든다.

이 모든 것들이 기억이 나고 몸에 느껴지는 듯했다.

이후의 작품이 기대된다. 

SAW Series

얼마 전에 Ch. CGV에서 SAW 2의 결말 부분을 우연찮게 보게 되었는데, 이전의 1도 일부분만 보았다는 것을 기억해 냈다.

그래서 이번에 SAW 시리즈를 차례대로 보기로 했고 보고 있다.

사실 필자는 공포물이나 하드고어류를 보아도 별반 섬칫해하거나 하지 않았는데, 별 것 아닌 장면에서 섬뜩해 졌다.

그것은 바로 2에서 마약 주사를 위한 주사기 더미 위에 떨어지는 여자의 모습을 보면서 그랬다.

정말 그 순간 섬짓했다.

의사들은 항상 차가운 의학용어로 내가 죽은 시체나 다름 없다는걸 돌려말하지

출처 : SAW III 중 24:50~54

이 대사는 직쏘1가 그가 암 판정을 받은 병원의 의사 중 한 여성 의사의 답변을 들은 뒤의 대사이다.

저 대사를 들으면서 생각해 낸 것은 얼마전 있었던 순천향 병원의 여중생 사건이었다. 정말 잊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때가 되면 다시 언급하고 싶어지는 계기가 생긴다.

또 한가지는 의사들의 어쩔 수 없는 직업적인 말투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필자가 만일 의사였다면 어찌했을까 죽음의 그 무게 앞에서 가볍게 말할 수도 없을테고, 부드럽게 말하려해도 가족들이 느낄 수 있는 그 모든 경우의 수들말이다. 좀 귀찮은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게 말 하는 것 자체가 귀찮다는게 아니라 그 이후에 생길 일에 대한 귀찮음을 말한다. 아주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말하는데도 가족들은 그렇게 느끼지 못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을 보면서 느끼게 된 것은 잘 하며 잘 살자 이다.

  1. 일본어 ‘칙쇼(?)’가 생각난다. 이 단어의 의미는 ‘젠장’이던가.[]

괜찮은 독자

책을 읽으면서 발견되는 적지 않은 오타들을 보면서 사람이 만든 것이라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때론 이런 것을 발견하기 위해 인력들이 투입되었을텐데 도대체 그 사람들이 일을 제대로 하지 않고 돈을 받아먹은게 아닌가 싶을 정도의 오타가 있는 책도 적다고만은 할 수 없다.

오탈자의 문제는 비단 책에 국한 할 수 없다. 종이로 출판되는 것들에서는 대부분 오탈자를 어렵지 않게 발견하고 있다. 재작년에 들었던 수업 중에 담당교수님께서는 오타가 발견될 때마다1 외국의 경우2를 들어가면서 말씀하셨던 적이 있었는데, 그것에 절대적으로 공감했다.

왜 이 이야기를 하는가하면 플톡에서 방송하시는 분 중에 쿨하니라는 분이 계시는데, 이 분의 블로그 글들을 앞에서부터 주욱 읽다가 괜찮은 독자가 되어야 겠다부분을 발견했다.

필자는 독력이 매우 좋지 않은 편인데, 독력이라는 것은 책을 읽는 속도 뿐 아니라 내용 파악과도 연결이 된다. 책을 읽으면서 그냥 무슨 글자인 줄만 아는 정도로 읽는다면 금새 읽겠지만 그렇게 읽으면 책을 읽고 나서도 무슨 내용을 읽었는지 전혀 파악이 되지 않는다. 책의 내용이 어떤 내용인가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읽으려면 속도는 고민이 될 정도로 느렸다. 지금도 그다지 빠르지는 않지만3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한 이후로는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처럼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읽기 위해서는 집중해서 보게되는데 그래서인지 오탈자가 유독 많이 눈에 띈다.

전에 앤 시리즈를 읽으면서 오타를 몇 번인가 발견해서 출판사에 보내려고 시도는 했지만, 본문에 집중하며 읽는데 맥이 끊겨버리곤 해서 몇 번 적다가는 말았다. 그리고 또 적지 않게 된것은 이렇게 해서 이미 누군가가 보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보면 괜찮은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능력도 좀 필요하구나 싶다. 그리고 부지런하기도 해야겠다는 생각도 함께 든다.

쿨하니님과 같은 사람이 있어서 세상은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1. 약 4회 정도[]
  2. 신문이나 잡지에서 오탈자를 신고하면 돈을 주기도 한단다[]
  3. 필자의 동생이나 학교 후배들 중에는 보통의 소설 한 권을 1시간에 독파가 가능, 물론 내용파악도 되는 읽기[]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Perfume – The story of a murderer를 소설로 접한건 아마도 2004년 쯤으로 기억된다. 그 때 소설로 읽으면서 이러 저러한 이미지들을 형성해 뒀었는데, 긴 분량의 소설을 재미있게 읽을 수도 있구나 싶은 생각도 들긴 했지만 무엇보다 주인공인 그르누이(Jean-Baptiste Grenouille)에 대한 이미지와 그가 향을 좇아 가는 모습에서의 그 향의 모습이다.

먼저 그르누이는 주세페 발디니(Giuseppe Baldini)의 향수 가게에 들어가기 전에 일했던 곳에서 병을 겪고 나서 면역을 가진채 몇년을 일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병을 앓고 난 뒤의 그의 모습에 대해 마치 골룸과 유사한 모습의 이미지를 형성했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웬 잘 생긴 청년 하나가 대~~~충 아팠었는지 말았는지, 그런 모습으로 마지막 압사 당하는 그곳까지 유지해나간다.

그리고 그가 향을 좇아가는 모습을 영화에서는 그다지 잘 표현했다고 생각되어지지는 않지만 소설로 읽었을 때 형성했던 이미지와는 차이를 보였다. 사실 소설을 읽으면서 향을 좇아가는 모습은 아스라히 퍼지는 뿌연 연기 줄기 같은 향이 실처럼 그 향의 근원지로부터 그르누이에게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상상했었다.

쨌뜬 이번에 개봉한 영화를 보기 전에 소설의 스토리를 그대로 담았다는 말에 적잖이 기대했었는데, 역시나 소설만큼의 디테일은 살리지 않았지만 실망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죽어가는 그녀들의 수를 세어보라고 하는 듯이 그녀들의 시신은 한번씩 비춰주는 것이 조금 신경쓰였을 뿐이다.

영화를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해 봤는데, 그르누이가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향기인데, 내용의 중반부에서 자신은 향기를 가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것은 자존감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일까. 또한 그가 여성들에게서 찾으려고 했던 것은 결국엔 그녀들의 향기가 아니라 그녀들에게 사랑받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영화 마지막부분에서 그는 사형장에서 그녀들의 체취를 담은 향수를 이용해 사람들을 조정할 수 있게 됐는데 마지막 희생자인 로즈의 아버지가 자신에게 달려들고 나서야 그는 깨달았다고 생각된다.

자신이 담아두고 싶었던 것은 그녀의 향(체취)이 아니라 그녀가 사랑해 주기를 바라는 그 마음이었음을 말이다. 그녀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었던 마음이었음을 알게 됐다.

그는 내용의 중간에도 종종 자신의 목적을 잊고, 완전히 잊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데 아마도 그 본 목적을 알았을 때 자신의 존재를 지워버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렇게 그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모여 압사당하기 위해 그 향수를 자신에게 부은것이리라 생각된다.

또한 사형장에서의 모습들은 그 향수의 배경이 되는 시대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꼬집어 놨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 시대의 타락한 인간들, 종교의 지도자들의 모습들, 그리고 마녀사냥의 모습까지도 말이다.

체 게바라 평전

자연을 정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을 정복하기 위해 많이 공부하여라. 그리고 혁명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 각자가 외따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무런 가치도 없다는 점을 늘 기억하여 주기 바란다.
특히 이 세계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행해질 모든 불의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웠으면 좋겠구나. 누구보다 너희들 자신에 대해 가장 깊이. 그것이야말로 혁명가가 가져야 할 가장 아름다운 자질이란다.1

이 책 처음 봤을 때부터 좀 괜찮겠다 싶었다. 하지만 책의 두께가 만만치 않아서 필자가 읽는 동안에도 여려 명이 한 번 읽어보고 싶었다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또 그들 중 읽어본 몇 명의 사람들은 재미가 없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재미있었으며 체 게바라를 좋아하게 되었다는 한 명 만이 있었다.

그 중 한 명의 후배는 책을 재미있다고 표현했지만, 사실 재미있지는 않았다.

어제 저녁에 마무리 지어지는 부분을 읽으면서 그의 최후에 대한 장면을 묘사해 놓은 장면을 보고나서 참 허탈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 와중에서도 그에 대해 존경심이 느껴졌다.

자신을 죽여야 하는 그 사람이 자신의 임무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고는 자신을 쏘라고 했던 장면에서 말이다.

이 장면을 읽으면서 예의없는 것들이라는 영화에서 신하균씨가 목사를 죽이는 장면에서 그 비리 목사의 입에서 나온 말들을 생각해 보았다. 나라면 그 사람과 다른 말을 뱉었을까? 자신을 죽이는 사람을 오히려 독려하고 축복해 줄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났다.

말로는 그렇게 한다고 하지만, 머리 속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다짐은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할 만큼의 성화가 이루어졌을까 싶은 생각이다. 성화라는 것은 ~화… 변해 간다는 말이다. 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져서 죽는 인간은 없다. 하나님이시면서 인간이셨던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완전히 성화된 인간은 없는 것이다.

쨌든 체 게바라 평전을 읽으면서 뭐든 시작하면 끝장을 봐야하는 성질이 제대로 발동했기 때문에 육백 몇 십여 페이지의 책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게다가 일정을 소화해가면서 그 많은 페이지의 책 한권을 다 읽었다는 기쁨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1. 장 코르미에 지음, 체 게바라 평전, 김미선 옮김, (서울:(주)실천문학, 2004), pp. 518~519.[]

에러 – RAW파일을 16개 이상 열 때

얼마전 촬영한 파일을 열기 위해서 Adobe Bridge를 실행했다. 그리고 파일을 열었다. 그리고는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발견했다.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 because an unexpected end-of-file was encountered.”

그래서 바로 구글링 들어갔다. 사실 이런 메시지를 발견한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이전에는 시간적 여유도 없거니와 별 것 아닌 것으로 여겨 그냥 넘겼다. 그러나 이번엔 시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구글링까지 들어간 것이다.

그랬더니 Adobe社Photoshop News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검색해 내었다. Can’t open images larger than 2 GB (CS2)라는 제목으로 결과가 검색되었다.

링크를 따라 들어가니 다음의 내용이 보였다.

May 22, 2006

Can’t open images larger than 2 GB (CS2)

Source: Adobe Support Knowledgebase

Issue:When you try to reopen an image larger than 2 GB in Adobe Photoshop CS2, you receive one of the following error messages:

–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 because of a disk error.”

–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 because the selected pattern is not available.”

– “Could not complete your request because an unexpected end-of-file was encountered.”

Detail:

You saved your image file from Photoshop with no compression in the
image file, or your image contains a layer style with a pattern or a
pattern content layer.

Solution: Install the Photoshop CS2 9.0.1 update.

Download and install the update from the Adobe website at www.adobe.com/downloads .

Background information

Photoshop CS2 cannot open TIFF, PSB and PDF files larger than 2 GB
if they were saved in Photoshop without compression or if they contain
a pattern layer style or a pattern content layer. The 9.0.1 update
allows you

This story was posted

on Monday, May 22nd, 2006 at 9:10 am and is filed under Photoshop “Issues”.
You can follow any responses to this story through the RSS 2.0 feed.

Both comments and pings are currently closed.

위의 내용에 따르면 한 파일의 크기가 2Gb보다 클 때 나올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 물론 필자의 해석이 정확할 때의 이야기지만 –  하지만 필자가 열려고 시도했던 파일의 크기는 해당 제한 용량의 10%정도의 크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사항이 아니다.

그렇다면 필자의 상황은 어째서 나타나는 것인가. 필자의 상황을 그대로 묘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dobe Bridge로 RAW파일을 열려고 시도하는 중이었고, Bridge의 상태는 기본 창 크기에서 가장 작은 Thumbnail size로 변경한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두 줄, 즉 16개의 파일을 열어서 작업할 때는 이상이 없었다. 그러나 3줄(24개)을 선택하여 열려고 했을 때 이상과 같은 메시지를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대략 파일 각각의 크기는 5Mb정도이다.

위의 검색결과에서는 하나의 파일 크기가 2Gb 보다 클 때 나타난다고 되어있는데, 위에서도 말했듯이 파일의 크기는 10%도 안되었다. 그렇다면 생각해 볼 수 있는건 다른 몇 가지의 상황들이겠지만 일단 거기까지 생각하고 싶지 않다. 머리 아프다.. ㅡㅡ;;;

행복을 찾아서..

작년 한 해 동안 영화를 극장에서 본 적이 아주 없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이리 저리 뛰어다니다보니 그럴 여유는 없었다.
행복을 찾아서라는 영화를 알게 된 것은 Ch.CGV에서 윌 스미스가 그의 친아들과 함께 출현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라는 부분을 우연하게 들었기 때문이다.

윌 스미스가 출현한 영화들은 대부분 재미있게 잘 본 기억들 뿐인데 그것은 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했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 영화가 좋아서 그가 좋아졌다기 보다는 그 영화에서 그가 맡아 연기했던 캐릭터들이 마음에 들었다고 표현하고 싶다.

그 동안 연기했던 것들 대부분이 재미있었던 것이었던데 반해 이번 영화에서는 역경을 극복해내 가는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음…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 개인적으로 스포일러들을 싫어하는지라 스스로가 그런 인간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고 할까.

쨌든 이 영화를 보면서 내 어머니께 감사했다. 먼저는 그 영화를 보면서 크리스의 모습에서 아버지의 모습을 공감해 내시는 어머니를 보면서 아버지를 떠나지 않으신것에 대해 감사했다.

지금도 견디지 못하고 떠나는.. 그래서 어머니라는 이름이 아까운 그녀들에게 자랑하고 싶다.

훗… 이 영화에서의 아들이 그의 친 아들이라는데 참 보기 좋았다.

윌 스미스

아포칼립토(apocalypto)

이 영화 그다지 기대하지 않았는데, 적지 않은 재미를 주었다.

재규어의 발톱(Jaguar’s PAW)을 맡은 Rudy YoundBlood라는 배우는 어디선가 본 기억이 있는 듯 한데 정확하게 기억이 나질 않는다. 구글링해 봤더니 흔한 인상이기는 하지만 공식적으로 아포칼립토라는 영화가 첫 영화이다.

조금 더 구글링해보니 소문이 꽤나 폭력적이라고 나 있었나보다. 역시나 폭력적이기는 하지만 영화의 시대 및 공간 배경상 어쩔 수 없는 것 아닌가 싶다. 마야 문명을 구현해 놓은 부분에서는 그 동안 알고 있던 지식적인 것들에 의한 상상과는 조금의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잘 재현해 냈다고 생각된다.

병들어 죽어가는 소녀(?)의 예언이 엉뚱하고 절묘하게 이루어져 가는 것으로 영화는 재미를 더했다. 멜 깁슨은 고대 예언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는 생각을 꼬집으려 했던 것일까?

쨌든 영화는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재규어의 발톱역을 맡은 루디

명탐정 코난 – 마술애호가 살인사건

132~134편을 연속으로 보고 있는데, 이제 132편을 보고 있는데 지난 번 어떤 채널에선가 본 기억이 있는 한국영화 한 편이 생각났다. 그 영화는 호러물이었는데, 지금까지 기억하고 있는 것은 순전히 양동근 씨가 출현했기 때문이다. 다른 배우들도 눈에 익은 배우들이 많았지만 양동근씨의 이번 앨범이 나오고 나서 그 영화를 접했기 때문에 더 그랬다고 생각된다.

그 영화는 다름아닌 해변으로 가다(2000)이다. 이 영화에서 양동근은 음침한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영화의 설정이 대략 명탐정 코난 132편에서 134편에 이어지는 설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얼마전 클릭이라는 영화에 대한 평가글 중에서 브루스 올마이티 같은 설정이다라는 글을 보면서 당췌 어디가 어떻게 똑같다는겐지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나 역이 왜 이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그 영화가 생각나는지 모르겠다.

다시 차근히 생각해보니 PC통신에서 만난 사람들이라는 것과 살인사건이라는 것이 두 작품의 동일 설정이다. 그 외의 세부 내용은 차이가 있다.

으음… 이렇게 따져 나가다 보면 안 비슷한 작품이 나올까? 단 몇 가지의 유사점이 있다고 하는 것은 마치 얼굴의 이미지가 비슷하다고 형제나 남매라고 우기는 것이랑 뭐가 다른가!

글을 적으면서 참 바보스럽게 느껴지고 있다… 누가? 본인이..

눌러~

아담 샌들러(Adam Sandler)라는 배우는 적잖은 매력을 지니고 있다.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첫 키스만 오십번째 였다. 그 이전에도 여러 영화들에서 그를 만나왔지만 그의 존재를 의식하면서 보게된 영화가 그 영화이다.

클릭이라는 영화는 가족의 소중함을 리모콘을 소유한 마이클의 인생을 통해서 알려주려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뭔가에 집중해 버리면 주변이 암흑이 되어버리는 현상을 자주 겪는데, 이런 경험으로 인해 잃은 것은 적지 않다. 영화에서처럼 가족들과의 소중한 시간을 Fast Forward 해 버리는 것 같은 경험을 겪고 마는 것이다. 영화에서는 그 시간 동안에 다른 마이클이 존재하지만 필자에게는 그런 것이 없다.

이제 이번주 토요일이면 동생이 시집을 간다. 결혼하기 전의 대부분의 신랑신부들은 꽤나 예민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동생과 했던 약속1도 있기 때문에 그녀에게 상처가 될만한 내용의 말들은 굉장한 인내심으로 참고 있다. 원래 성격이 자기 것을 아주 잘 챙기지만 지나친 합리성은 가족과 본인을 완전하게 분리시켜 사고하고 행동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것에 대해 그다지 문제를 삼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어디 가족이라는 그런것인가.

쨌뜬 동생의 편을 들어주면서 그녀의 마음의 상처가 되거나 서운함으로 남는 것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내 노력은 끝났다. 이제 얼마후면 27년간의 동거를 마치고 분가를 시켜야 하는 것이다.

하아… 동생과의 시간을 보내기에도 부족한 시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 동안에 난 뭘 했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클릭이라는 영화를 통해서 동생과의 관계 회복, 나 자신에 대한 변화의 욕구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되었다는 것으로 글을 마치려 한다.

글을 적기 시작한 순간부터 머리 속이 굉장히 복잡해 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글을 더 이상 쓰는 것이 무리라고 생각된다.

  1. 평생 편 들어주겠다는 약속[]

변화의 시작

한순간에 변하는 것은 없다.
최근에 카툰을 보지 못해서 여러 카툰들을 몰아서 보다보니 도로시 밴드의 최근회에서 허수아비의 대사가 명품이라 옮겨 적어본다. 허수아비의 얼굴부분만 대충 그려서 대사만 넣어보았다.

왼쪽 그림의 다음에 오는 대사가 명언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변화는 오는게 아니야, 단지 시작될 뿐이지…

그래 시작이다. 언제나처럼 새로이 마음을 가다듬고 시작은 하지만 쉽게 변하지는 못한다. 사람의 성격이란 것에서부터 모든 속성들은 변화가 가능하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변화를 시도한다.

최근 포스팅 중에서 체중감량 계획에 대한 포스팅이 있었는데, 시작이 쉽지가 않다. 여전히 그 때의 체중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전히 운동은 하지 않고 있다. 못하고 있다는 핑계성 발언은 하고 싶지 않다. 하려고만 했으면 할 수 있었을만한 상황이었다는 얘기다. 군에 있을 때 3개월 정도의 기간동안 15Kg를 감량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도 녹록치 않았던 일정중이었다. 훈련은 훈련대로 진행되고 주마다 무슨 무슨 일이다 해서 회식도 있었다. 그럼에도 저녁에 집에 가면 반바지와 반팔티셔츠를 입고 줄넘기를 했었다. 물론 그 결과 중3이후로 유지했었던 체중(80Kg)으로 감량에 성공했고, 그렇게 전역했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에와서 발생한다. .1ton의 체중을 갖게 되면서 전처럼 과격한 운동을 할 수가 없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걸어다니면서 하는 건 성격상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시도만 해 봤다. 걷기 운동이 그것인데, 걷기 운동이 신체에 무리를 적게 주면서 효과적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뭔가 운동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지 않아서 재미가 없다.

체중감량을 위해서 했던 운동들은 대부분 과격한 것들1이었기 때문일까생각해보았다. 그런것들도 원인이 되었겠지만, 역시나 과체중으로 인한 신체적 조건의 원인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쨌든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 내 삶에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해서도 꼭 변화를 이루어내야만 한다. 하지만 전과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꾸준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1. 줄넘기 일일 5천회, 20Km왕복 달리기…[]

은근한 트리 숲

트리
이번에 어떤 행사에 가서 사진을 찍어주게 되었는데, 그곳에 설치된 중간크기의 트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 아랫부분에 전구들이 있어서 트리를 밝게 올려 비춰주고 있었는데 웬지 이뻐보여서 찍었는데, ㅋ… 찍고보니 원하던 만큼 이쁘게 나오질 않았다. 하지만 웬지 비밀의 숲 같은 느낌이다.  

샌드위치와 속

12월 초에 정기모임을 가졌는데, 이번 모임은 사무실을 옮기고 난 후에 가지는 외부사람도 초청하는 모임이었다. 그래서 다른 모임때와는 달리 직접 만들어서 손님들을 접대했는데, 그 중에 한가지가 샌드위치였다.

음… 만들고 있는 중에 도와주지는 않고, 그냥 사진만 찍어뒀다. 웬지 예쁘게 나올 듯 해서 찍어뒀는데, PC에서 보니 그닥 예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그래서 그저 기록정도로만 남겨두려한다.

사랑따윈 필요없어

이번 주는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 기간이라서 늦은 시간까지 학교에 있다가 동생이 퇴근하는 시간에 맞춰 나왔다. 나오면서 TU를 보는데, 다른 곳에서는 재미있는 것도 하지 않고해서 TU BOX채널을 확인해 보니 사랑따윈 필요없어를 무료로 상영하고 있었다.

동생을 태우러 가서 동생을 태웠는데 누군가와 통화하면서 상대편에서 시끄러운게 뭐냐고 물었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사랑따윈 필요없어라고 했더니, 그 영화 망한거야? 라고 대뜸 말했다.

영화를 다 본 후의 감상은 웬지 마무리가 상업적 영화로 성공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았나 싶다. 내용 전반적인 평가는 뒤로 제쳐두고 마지막 부분에서 오히려 비극으로 끝났다면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을지언정 상업적인 영화로서는 성공을 거두었을것이라는 생각이다.

2006년 한국, 전혀 새로운 <사랑따윈 필요없어>를 만난다!


영화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2002년 일본 TBS 방송국에서 방영했던 드라마 ‘사랑따윈 필요없어, 여름’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와타베 아츠로가 남자 주인공 레이지를, 히로스에 료코가 여주인공 아코를 맡아 총 10부작으로 방영 되었던 드라마를
한국에서 영화로 리메이크 한 작품인 것. 싸이더스FNH가 TBS로부터 판권을 구입한 후 이철하 감독이 연출을 맡아 1년이 넘는
시나리오 작업과 프리 프러덕션 과정을 거쳐 김주혁과 문근영 주연의 영화로 재탄생 하였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영화는 원작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되 드라마와 영화의 차이 뿐 아니라 다른 문화, 다른 시대, 다른 배우와 스탭들이 만들어낸 전혀 새로운 감성을 담고
있다. “김주혁이라는 배우가 세상에 단 한 사람 뿐이듯, 그가 연기하는 줄리앙도 세상에 한 명 뿐이다”라는 김주혁의 말처럼,
“원작은 원작일 뿐이다. 너무 많은 스탭들이 함께 고생하며 줄리앙과 류민의 영화를 만들었다. 우리들의 영화를 보러 와 달라”는
문근영의 말처럼, 영화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원작과는 또 다른 새로움으로 관객들을 찾아갈 것이다.

영화 제작 노트를 살피다 보니 일본의 동명 드라마를 원작으로 한 영화였다. 한국의 정서에 맞게 각색했다는데 이 정도 되면 원작을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일단 지금은 시험 기간이기 때문에 시험을 끝내고 난 후에 감상해야 겠다.

더 보기

사랑따윈 필요없어 국내판

일단 각색된 국내 영화판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웬지 아쉬운 부분이 많다. 여러 요소들 중에 마지막의 결말이 그 중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명탐정 코난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접한지 꽤 오래됐지만 한번도 처음부터 제대로 본 적이 없었던 애니메이션이다. 이번에 시험기간 후에 죄다 몰아서 보려고 다 받아놨는데, 이거 애니메이션에 너무 푹 빠져서 시험공부를 안하고 놀까봐 나름대로 만들어놓은 스스로를 위한 장치이다. 만약에 시험 기간 중에 애니메이션을 본다면, 다 삭제해 버리겠노라고 작정했고 지키고 있다. 시험 기간이 끝날 때까지 보지 않으면 차례 차례 보는것이다.
과연 여건이 허락할 지는 모르겠지만, 언제까지고 시간은 많이 남았으니까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 보는 동안 몇 편이 더 나올것이다.

학교를 통학하는 중에 투니버스를 자주 보는데, 투니버스에서는 코난 1, 2기 밖에 하질 않는다. 다른 어떤 곳에서도 3기 이상의 코난을 접해보지를 못했다. 그래서 작정하고 1편부터 최근에 방영한 것까지 다 받아두었다. 다 받고 나서 코난넷도 가입했다는 사실, 그런데 가입인사만 떨렁 남겨두고 아무런 활동도 안하고 있다는 것이 마음에 걸리기는 하지만, 웬지 유령회원으로만 남을 것 같진 않다. 이번 기회에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코난 도일의 추리소설까지 섭렵해 볼까 싶은 생각도 든다.

ㅎㅎ… 웬지 행복감에 젖어 있다. 시험을 무사히 마치고 볼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감이 시험 성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를 바라면서, 열공모드 돌입!!

해상도 원상복구..

그래픽카드와 모니터에서 지원가능한 최고의 해상도 1920×1200으로 설정한지 2일만에 복귀다. 문서를 편집할 때는 그럭저럭 사용할 만 했다. 오히려 장평이 줄어든 효과를 내어서 보기가 좋았다. 하지만, 사진을 편집하려고 하니 이건 아니다 싶어서 원래대로 돌아왔다~

아~ 반갑다 가로 1600아~

히치하이킹의 지침

르네상스의 여인들1이라는 책을 방금 다 읽어냈다. 책을 읽는데 꽤나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필자에겐 읽는다는 것은 일2이다.
쨌든 시오노 나나미라는 작가에게 관심이 가는 사람들을 위해 책의 말미에 『르네상스의 여인들』창작 뒷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작가와의 인터뷰를 싣고 있는데, 작가가 이 책을 저술하게 된 동기를 설명하고, 후에 헝그리했던 젊은 시절에는 히치하이킹을 했다고 말한다. 그와 함께 나름대로의 히치하이킹의 지침을 설명해주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믿든 안 믿든,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싶으면 그 방법밖에 없었던 시절이에요. 배낭여행이나 어린 학생들의 단체 해외여행이 시작된 건 그후였죠, 그리고 나도 나름대로 히치하이킹의 지침을 갖고 있었어요.
첫째, 히치하이킹에 성공하지 못해도 괜찮을 정도의 돈은 항상 준비해둘 것, 다시 말해서 선택의 여지를 남겨둘 것.
둘째, 티셔츠에 청바지를 입어도 상관없지만, 깨끗하고 단정한 차림을 할 것.
셋째, 도로의 가드레일에 걸터앉아서 손만 흔드는 따위의 무례한 행동은 하지 말 것. 반드시 길가에 서서 기다릴 것.
넷째, 치마를 걷어올려 다리를 드러내 보이고 그것으로 관심을 끄는 짓은 하지 말 것. 못된 남자의 차에 타는 위험을 자초할 가능성이 크니까요.
다 섯째, 길모퉁이처럼 차를 세우기 어려운 곳에는 서 있지 말 것.
여 섯째, 직접 운전하든 운전수가 딸려 있든, 혼자 여행하고 있는 사람을 노릴 것. 동승자가 많으면 질문공세에 시달려서 오히려 피곤해 지니까요.
일곱째, 다가오는 차를 운전하고 있는 사람, 운전수가 딸린 차라면 뒷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면서 미소를 지을 것.
마지막은 나를 태워준 사람과 말상대가 되어줄 것. 상대도 심심해서 태워주는 것이니까, 차를 얻어 탄 이상은 열심히 말상대를 해줘야죠.

이렇게 하면 별로 오래 기다리지 않고도 차를 얻어 탈 수 있었어요.

『르네상스의 여인들』 364면
그녀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히치하이킹 지침이다. 게다가 젊은 여성이라는 점과 예의 바른 정신의 소유자라는 것, 또 통찰력을 살며시 드러내주는 지침이다.
최근에는 다들 차가 있거나 교통편이 편리한 곳으로 여행을 다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배낭여행을 하는 사람들도 히치하이킹 따위는 꿈도 꾸지 않으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필요 없을지도 모르지만, 필자처럼 엉뚱한 생각을 가진 사람도 없지는 않을거라는 생각에 적어본다.
작년에 청소년 캠프에 스탭으로 일하면서 중고등학생들과 히치하이킹을 시도했었는데, 나름 아이들에게 재미를 느끼게 해 주었던 프로그램 중에 하나였다. 사실 스탭으로 참여했던 필자도 적잖이 즐거운 시간이었기 때문이기도하다.

인터뷰를 읽으면서 몇 가지 의문이 들었는데 그 중에서 이름에 관한 것이 그 하나이다.

그런 글을 쓰는 게 직업이 되리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집가라는 말도 하지 않고 내 마음대로 살 수 있게 해준 부모님한테 작은 효도나 하려고 본명으로 발표했어요. 그러고는 나중에 아뿔싸 했죠. 작가가 될 줄 알았으면 좀더 여자다운 필명을 생각해두는 건데 하고……

『르네상스의 여인들』 375면
시오노 나나미라는 작가가 할머니라는 동생의 친절한 설명을 듣고, 책의 표지 안쪽에 실린 곱게 늙은 할머니 사진을 본 때문인지 시오노 나나미라는 이름은 꽤나 여성적인 이름이라는 느낌이었는데, 정작 본인은 여성스럽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게다가 나나미라는 이름의 캐릭터들도 대부분 여자였기 때문이기도 한데, 시오노라는 부분이 남성적인 성향의 이름이라는 것인지 궁금하다. 누구 아시는 독자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린다.
이 후에도 시오노 나나미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증을 해소해 줄만한 몇 가지 질문과 답변들이 있으니 사서 읽어보시는 것도 좋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 김석희 옮김, 서울 : 한길사 , 2002.[]
  2.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그동안 사진을 찍을 때~

jpeg로 저장하도록 품질(Quality)을 설정해 두었는데, 이번에 4GB 용량의 CF를 사서 RAW파일로 저장하도록 설정을 바꾸었다.
사진을 찍을 때는 별반 차이가 없고, 편집할 때 변화가 생겼는데, 알씨에서 곧바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일일히 열어보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뭔가 편리한 유틸이 있어도 이 작업 방식에는 변함이 없을 것 같다.
사진을 찍으면서 무보정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최근 사진을 띄엄 띄엄 찍어서인지 화벨 설정에 자신이 없어졌다. 그래서 그냥 찍고 나서 포샵에서 커브로 이미지를 보정했는데, 그것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 RAW파일로 불러왔을 때 열리는 관리 페이지에서 Color Temporature(색 온도) 설정에서 간단하게 변경 할 수 있게 된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지만 역시나 이전 작업보다 불러내는 시간도 더 걸리는데다가, 일일히 색온도를 변경해주고 오픈하고 액션으로 처리하고… 뭔가 작업량이 굉장히 많아졌다.

그래서 사진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사람들의 독촉에 시달리는 주기가 더 짧아졌다.

이거원.. 사진도 완전 일이돼버렸다. 사진 찍는건 그렇다고 치고 정리하고 올리는게 일이 돼버려서인지 흥미가 없어지는 기분이 든다. 흥미를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처음에 가졌던 “내가 보는 모든 것들을 담고자”하는 그 생각만은 변함이 없기를 스스로 바라고 있다.
이번에 찍은 사진 중 분위기가 가장 특이하다고 생각되는 사진이다.
내 수준이 이런 수준정도라는게 탄로날만한 사진인듯하다.  

카테리나 스포르차 – 르네상스의 여인들 : 시오노 나나미

칼로 위협당한 아이들은 울면서 어머니를 불렀다.
그러자 카테리나가 성벽 위에 모습을 나타냈다. 맨발에 머리도 묶지 않고 풀어헤친 모습이었다. 오르시는 성에서 나오지 않으면 아이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했다. 여기에 대한 그녀의 대답이야말로 마키아밸리를 비롯한 모든 역사가가 후세에 전한 그 유명한 말이다. 카테리나는 유유히 치맛자락을 홱 걷어올리고는 이렇게 외쳤다.
“멍청한 놈들아, 이것만 있으면 아이쯤은 앞으로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단 말이다.”
여기에는 한동안 아무도 말을 잇지 못했다.

222 쪽 – 11 줄
시오노 나나미가 쓴 르네상스의 여인들의 한 부분으로 카테리나 스포르차라는 여인의 이야기인데, 지금 이 여자는 자신의 남편인 영주를 잃은 성에서 자신의 작은 나라인 포를리를 지키기 위해 엄청난 배짱을 부린 장면입니다.
과연 저런 행동을 한 그녀는 여섯 아이의 어머니로서 그들이 죽기를 바랐던 것일까. 세상에 어떤 어머니도 자신의 아이들이 죽기를 바라지 않을것입니다. 물론 모성애조차 가지지 못한 불쌍한 여인들도 있습니다만, 그녀는 그런 생각이 아니었습니다.

아이들편에서 생각해보자면, 자신의 목숨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어쩌면 살아나더라도 비뚤어져버릴테다~ 라는 개그만화의 한 장면의 주인공이 되리라 결심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 여자 꽤나 치밀했습니다. 그녀의 남편이었던 영주보다도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카테리나가 아이들을 버린 것은 아니다. 사로잡혀 있을 무렵, 그녀는 공포에 질려 울부짖는 아이들을 이렇게 타일렀다고 한다. 지금까지 죽이지 않았으니까 더 이상 위험은 없다고 생각해라. 너희는 용감하기로 이름난 스포르차 가문의 피를 이어받지 않았느냐, 카테리나는 단지 선수를 쳐서 오히려 적의 의도를 꺾어버리려고 생각했을 뿐이다. 그녀에게 지금 중요한 것은 시간을 버는 것뿐이었다.

223 쪽 – 3 줄
필자의 주변에 저런 대범함을 갖춘 여인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달려가서 청혼하겠습니다. 이전에도 밝힌 적이 있지만, 목회자가 될 사람으로서 그에 맞는 사모의 요건 중에 하나가 바로 대범함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스포르차의 저런 대범함만이 긍정적이었습니다. 남편에 대해 그다지 기대하지 않은데다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던 그녀의 모습은 다른 여인의 남편을 믿어주는 모습이었으면 하는 작은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롤로그에서 작가는 이 여인에 대해 남아있는 애가를 남겨두었는데,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저 비탄에 잠긴 여인의 이야기를 들어보라
포를리의 카테리나의 이야기를.

나는 조국을 위해 싸우고 있다.
어느 누구의 도움도 없이, 모두에게 버림받은 채.
이런 나를 위해
무장을 갖추고 말을 달려와 용기를 보여준
군주는 한 사람도 없구나.
온 세상이 경악했다.
‘프랑스 만세’를 외치는 병사들의 함성에
이탈리아의 힘은 완전히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저 비탄에 잠긴 여인의 이야기를 들어보라
포를리의 카테리나의 이야기를.

저 교황의 아들
발렌티노 공작(체사레 보르자)이
앞으로도 계속 포를리에 머물 생각이라면
미장이로 직업을 바꾸는 편이 좋을 것이다.
도시를 완전히 새롭게 만들기 위해서.
내가 미친 듯이 화가 나면
모든 것을 철저히 파괴해버릴 테니까.

저 비탄에 잠긴 여인의 이야기를 들어보라
포를리의 카테리나의 이야기를.

  • 16세기 초에 로마냐 지방에서 불린 「카테리나 스포르차의 애가」에서
  • 179쪽 – 2줄
    애가라고는 하지만, 꽤나 무서운 구석이 보입니다. 그 당시의 그녀에 대한 표현이 그대로 녹아있습니다.
    자세한 서적 정보는 <르네상스의 여인들 시오노 나나미 | 르네상스 저작집 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서울 : (주)도서출판 한길사, 2005)>

    코난 6기 극장판 – 베이커가의 망령

    베이커가의 망령은 대강 천재 소년이 개발한 인공 두뇌 프로그램인 Noah’s Ark를 뜻한다. 천재 소년은 히로키라는 이름의 캐릭터인데,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헤어지고 어머니와도 헤어지게 되어 개발자로서 IT계열 최고봉 기업주에게 소속된다. 그리고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일들이 있게 된다.

    히로키는 어린 시절 일본에서 성장하게 되는데 일본의 개성을 인정해 주지 않는 교육 분위기로 인해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다. 그리고는 개발자로서 인생을 살아가는데, 기업주에 대한 비밀을 알게 되고 그가 프로그래밍이 완료된 후에 자신을 죽일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직접 보시는 것이 좋으리라는 생각이다.

    한국은 일본에 대해 굉장히 심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지난 역사들에 의해 그럴 수 밖에 없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의 문화와 일본의 문화는 적지 않이 닮은 꼴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한국의 젊은 사람들이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그들의 작품들이 스토리가 탄탄하다거나 작화의 세련미라는 이유 외에도 설명되어지지 않을까 싶다.

    쨌든 이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Noah’s Ark가 정, 재계 2, 3세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상 게임 프로그램에 침투하여 통제하는데, 그런 내용 중에 게임에 들어가 경험하는 2,3세들의 모습을 보면서 느낀 것이 있기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단지 애니메이션의 가상 상황(픽션)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이 조금은 우습게 여겨지지만 그 내용을 통해 필자 고모님의 아들인 S군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났기 때문이다.

    본인의 조모님은 그 분의 둘 째 따님의 아들 – 말하자면 외손자 – 인 S군에게 별다른 정이 없으셨다고 한다. 본인과 동생, 그리고 셋째 고모님의 자녀들처럼 직접 키우시거나 하지 않으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모님께서 고모님댁을 방문하셨을 때 고모님께서 보이신 행동에 대해 S군은 실로 감동스러운 장면을 연출했다고 한다. 고모님꼐서는 상체의 비만으로 인해 가지게 되신 지병의 치료 목적으로 수영장에 가신다고 했던 것으로부터 사건은 시작된다.

    조모님은 81세(2년전)의 고령의 몸을 이끄시고, 부천에서 고모님께서 계신 의정부까지 친히 방문하셨다고 한다. 방문하신 집은 둘째 고모님댁이며 그 고모님은 하체에 문제가 있으셔서 거동에 적잖은 불편을 겪고 계셨고 그 때문에  치료 목적의 수영을 다니셨다고 한다. 그런데 할머님께서 고모님댁에 도착하신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고모님은 조모님께 수영장에 가신다고 하셨다고 한다. 그 상황에서 S군은 아래와 같은 발언을 한다.

    “엄마, 할머니께서 자주 오시는 것도 아니고 몇 개월만에 힘들게 오셨는데 그거 나중에 가도 되는거잖아요. 나중에 내가 커서 엄마 오셨는데 일보러 나간다고 하면 어떠시겠어요?

    이런 별것 아닌듯한 말에 희망의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것에 의아해하시는 분을 위해 추가 설명들어가겠다. 둘째 고모님은 S군을 재혼을 통해 얻으셨다. 둘째 고모부님은 사업을 하시던 분이셨고, 첫째 부인과 사별하시어서 혼자인 상태이셨다고 한다. 그런 중에 고모님과 결혼을 하셨는데 이 고모부님 성격이 정말 대단하시다. 필자와 동생의 어린시절 이 고모부님의 포악하고 현미경으로 들여다 봐도 찾을 수 없을 만큼 몰인정한 행동에 엄청난 상처를 받았기 때문이다. 고모님의 친정, 즉 우리 친족들과의 왕래를 극히 꺼려하셨고 굉장히 거친 언사로 고모님을 공포로 몰아넣으셨던 분이시다. 물론 이 묘사에는 한치의 과장도 섞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묘사를 제하였다.

    그런 고모부님의 아래에서 자라난 S군에게서 위와 같은 발언이 나왔다는 것에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인간 됨됨이가 하한가를 치는 아버지의 자식으로 살아오면서 옳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그 가치관에 따라 발언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은 발견된다. 물론 악한 부모 자손들이 무조건 악하게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녀들은 부모들의 행동이나 사고를 여과없이 배우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적지 않은 부분에서 유사한 인간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S군의 입에서 위와 같은 발언이 나왔다는 것에 감동했고, 그런 발언을 통해 가능성은 발견된 것이다.

    어떠신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버릇없고, 인간미 떨어지는 사람을 방치하기에 더 익숙해져 있다. 그들의 행동이나 생각성향을 옳바르게 잡아줘야 하는게 도리가 아닐까?
    내 자식도 아닌데 굳이 그렇게 해 줄 필요가 있냐고 물으신다면, 그렇다!

    사진 찍을때의 요령(내셔널 지오그래픽스 기사)

    출처 : http://blog.naver.com/maxjjw/110009503226

    Bob Krist (“Danish Light,” July/August 1998)

    – Pay attention to the quality of light and not just the subject.
    좋은 빛을 찍는 겁니다. 좋은 대상물이 아니예요.
    – Shoot in warm light, around dawn or dusk.
    해가 있을 때 찍으세요. 새벽부터 해질녘까지 입니다.
    – Always take a look at the edges of the view field.
    언제나 시야의 가장자리(끝)를 주목하세요.
    – Shoot plenty of film.
    셔터누르는 걸 아끼지 마세요.
    – Include a dominant element in the image.
    내가 담고자 하는 것의 제일 중요한 부분을 빠뜨리지 마세요.
    – Always carry a polarizing filter and tripod with you.
    편광필터와 삼각대를 챙기세요.

    Gail Mooney (“America’s Hometown,” July/August 1998)

    -Be an observer. Be patient and watch life as it happens?then be readyto capture the right moments as they present themselves.
    삶을 관찰하세요. 인내하며 무엇이 삶에 일어나는지 주목하세요. 그리고 제때에 일어나고 있는 그대로를 사진으로 담을 준비를 하세요.
    -Don’t bog yourself down with all the latest gadgets. The real art isbeing able to communicate and to understand what the message is.
    최신의 기계(사진기? 렌즈?)로 당신 자신을 엉망으로 만들지 마세요. 진정한 사진(예술)은 메세지를 이해할 수 있을 때 공감가능한 것입니다.
    -A lot of amateurs make the same mistakes: not thinking about whatthey’re shooting; not considering the light; staying on the outside andnot getting in where the action is; using a flash in a big interiorwhere it won’t do any good.
    많은 아마튜어는 공통된 실수를 하곤 합니다. 뭘 찍고 있는지 생각치 않고, 빛을 무시하며, 그 상황의 안에 있지 않고 바깥에 머무르며, 도움도 안 되는 아주 큰 실내에서 플래쉬를  사용합니다.
    – Never leave home without lots of extra batteries, a small flashlight, a compass, a magnifier, and a weather radio.
    풍경사진을 찍을 때는 충분한 건전지, 작은 손전등, 나침반, 쌍안경과 작은 라디오를 챙기세요.

    Jim Richardson (“Sojourn on a Southern Highway,” November/December 1998)

    -Shoot more pictures and throw away the bad ones. You’ll try morethings: angles, exposures, and so on. The one way to get the photoright is to try lots of different approaches.
    더 많이 찍고, 버리십시오. 구도와 노출값등을 바꾸어 여러 가지를 시도하세요. 좋은 사진을 찍는 방법은 다른 각도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 The human eye sees differently than a camera, so try to imagine how that image will look in a photograph.
    우리가 보는대로 사진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니 사진으로 찍혔을 때를 머릿속으로 그리세요.
    – Don’t just point the camera at the scene. Try to create a sense of depth and put things in the image for scale.
    눈에 보이대로 찍는 것만 하지말고,  깊이있는 감각을 만들도록 하고, 사진안에 스케일에 맞게 그것들을 집어넣으세요.
    – Get up early and stay out late.
    일찍 나가서 늦게 들어오세요.
    -Force yourself to “think little” and to “think big” by doing close-upsand long shots. You’ll gain a lot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detailsand grand-scale images.
    가까이 다가감으로, 롱 샷으로 보다 작게, 보다 크게 생각하세요. 디테일을 보는 것으로, 그랜드 스케일을 보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얻게 됩니다.
    – Try carrying a right-angle viewfinder and put the camera on the ground or up high on a ledge and experiment.
    적절한 앵글 뷰파인더를 써보세요, 그리고 사진기를 아주 낮게 또는 아주 높게,  보는 눈높이를 바꿔며 실험해보세요.
    – Meet the people you are going to photograph and establish a rapport before you begin shooting.
    사진찍을 사람과 먼저 만나고,  친해지세요.
    – Use wide-angle lenses for close-ups, because it’s easier to create a sense of perspective.
    다가가서 찍을 때는 더 광각의 렌즈를 쓰세요. 원근감을 만들기가 더 쉽습니다.
    – Carry a compact folding reflector to illuminate objects in the foreground.
    접는 반사판을 가지고 대상물에 앞에 낮은 곳에 두면 빛이 더 삽니다.
    -When you are traveling, go to a souvenir shop and pick up a bunch ofpostcards for the place you’re visiting. It will let you see how others see each place so you can try to approach it more creatively.Invariably, you will also find something that you didn’t know wasthere!
    여행에서는 관강상품 가게에서 그 지방의 엽서들을 보면 다른 이들이 보는 방법을 볼 수 있고 당신은 더창조적인 사진을 위한 다른 방법을 찾을 겁니다. 그리고 반드시 그 지방에 있는지 몰랐던 새로운 장소나 볼거리를 찾을 겁니다.

    Mark Thiessen (“Garden of Dreams,” January/February 1998)

    – Try to get close enough to your subject to capture the important details.
    중요한 디테일을 잡을 수 있게 대상에 충분히 접근해보세요.
    -Experiment with different types of film in different lightingconditions. For example, try using tungsten film outdoors, perhapsusing a fill-flash with a daylight-to-tungsten gel taped over the head.
    여러 상황에서 여러 필름을 여러 빛의 상황으로 실험하세요. 예를 들어 텅스텐 필름으로 야외에서, 아마 플레쉬를 이용해 머리위의 태양광과 텅스텐 젤 테입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Try using a fanny pack rather than a camera bag. It is not only lighter but safer while traveling in foreign countries.
    허리색을 이용하세요. 가볍기도 하거니와 여행지에서 더 안전해요. 도난을 막아요.
    – Take a tripod, which allows you to use slower speeds and longer lenses during twilight.
    삼각대! 그것은 어두운 불빛에도 느린 스피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ill Luster (“Brown County,” July/August 1997)

    -Be as basic as you can in your equipment. Try to use just a camera, acouple of lenses, and not much more. It keeps you thinking about whatyou’re shooting.
    단촐(!)하게 꾸려서 다니세요. 사진기 한개에 렌즈 두어 알에 몇가지 악세사리만 챙기세요. 촬영에 몰두할수 있게 도와줄거예요.
    – Try to include people in every picture you shoot.
    사람이 들어가야 사진이 재밌어 집니다.
    – Make sure you’ve got film in the camera, set the ISO dial, and don’t shoot into the sun.
    필름은 넉넉하게 갖고 다니시고 필름감도를 맞추어 찍는 걸 잊지말고, 해는 찍어봐야 사진만 버립니다.
    -When shooting horses, putting pebbles in an empty film canister andshaking it really gets the animals’ attention. They think it’s food sothey respond to it.
    말들을 찍을때는 작은 자갈 몇개를 빈 필름통에 넣어서 흔들면 관심을 가질겁니다. 먹인 줄 안데요.
    -Always have a sturdy tripod handy and never leave home without ducttape in your camera bag. Tape around the camera to keep out dust andwater. You can also writes notes on the tape to organize captioninformation at the end of each day.
    무식한 삼각대와 넓은 종이 테이프 없이는 나가지 마세요. 카메라를 둘러싸면 먼지와 물을 막아줍니다. 또한 테입에 찍은 데이타 정보를 적어놓으세요.

    -When shooting horses, putting pebbles in an empty film canister andshaking it really gets the animals’ attention. They think it’s food sothey respond to it.
    말들을 찍을때는 작은 자갈 몇개를 빈 필름통에 넣어서 흔들면 관심을 가질겁니다. 먹인 줄 안데요.
    -Always have a sturdy tripod handy and never leave home without ducttape in your camera bag. Tape around the camera to keep out dust andwater. You can also writes notes on the tape to organize captioninformation at the end of each day.
    무식한 삼각대와 넓은 종이 테이프 없이는 나가지 마세요. 카메라를 둘러싸면 먼지와 물을 막아줍니다. 또한 테입에 찍은 데이타 정보를 적어놓으세요.

    쿨픽 775여 안녕~

    사진은 여러모로 추억을 담고 있다.
    휴우…

    [ 이 자리는 원래 사진이 있던 자리인데, 몇 번의 이사로 유실되었다.
    1346172503.jpg ]

    내 생에 있어서 처음으로 가졌던 카메라이며, 디지털카메라였던 Nikon CoolPix 775로 찍었던 사진이 죄~ 없어져 버리고 달랑 한 장 남았다.
    이 사진만이 남은채 어디론지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원인은 아무래도 불안정한 하드를 새로이 설치하면서 지워진 것으로 판단된다. 다행히도 하드에 남아있는 것 외에 최초에 찍은 CD2장 분량의 사진은 백업되어 있다.

    위에 남아 있는 사진은 천안에서 찍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군에서의 무료한 생활을 달래려 크레이지아케이드 BnB라는 게임을 하던 시절에 온라인에서 자주 만나던 누님들과 만나기로 했던…. 이라고 치는순간 눈에 들어온 건 오른쪽 잘려나간 버스의 뒤편에 새겨져 있는 수원여객이라는 글자!!

    이로써 새로운 내용을 기억해 내야할 상황에 처하게 된다. 왜 저 곳에서 찍게 된 것일까? 수원에서 누군가를 만나기로 했을까? 기억이 조작되었다. 명확하게 어떤 사진인지 기억이 나지를 않는다. 2003년 4월 14일에 무슨일로 수원에 갔던 것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행히 연도별 월별 일자별로 폴더를 만들어 분류 해 놓았기에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언제 찍었는지조차도 모른채 쌩뚱맞은 사진이 될 것이었다.

    사진은 동영상과는 달리 정지된 모습안에 동적인 모습을 담고 있기도 하고 머리속 영상의 시발점이 되기도 한다. 그 안에 있는 상황들을 예상하고 여러가지 다른 기억들과 대조하면서 기억해 낼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오늘은 저 사진이 어떤 사진일까? 기억해 내는데 약간의 시간을 할애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오란고교 해피앤드..

    역시나 해피앤드!
    이제서야 완결편을 봤다.
    이미 다 봐서 재미없어하는 분이라면 아래의 내용은 패쓰!
    쨌든 여러 사람들의 예측과는 달리 – 아니 이미 결과를 예상해버렸겠지만 – 좋은 결말을 가진 애니다.
    해피앤드 작품을 보노라면 이전에 발리에서 생긴 일이라는 드라마에서 수 많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함께 우울함을 더해준 사건이 생각난다.

    오란고교 호스트부 인트로에서 모두가 모이는 장면

    일단 작품으로서는 괜찮은 편에 속하지만, 꽤나 어려운 사회상황속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좌절의 쓴맛을 되뇌이게 만들었다는데서 악평을 받았던 작품이기도 하다.

    어쩌면 난 이번 오란고교 호스트부의 결말을 보지 못한 상황에서 그런 좋지 않은 결말을 기대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렇게 끝나기에는 그동안의 사건들이 지나치게 엉뚱했다고 생각된다. 여러 작품들의 패러디 정도로 끝나버리는 애니메이션이 있는가하면, 적절히 그런 진부함을 섞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작품들도 적지 않다.

    쨌든 이 글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오란고교의 해피엔드이다.

    오란고교 호스트부 인트로에서 모두가 모이는 장면

    한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짧은 생각을 하게 된 작품이기도 하다.

    본인이 스스로에 대해 내리고 있는 착각정도의 작은 생각 중 하나는 엉뚱하다는 것이다.

    뭔가 엉뚱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 그런 것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으면 존재 가치가 떨어져버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이를 먹어가면서 그런 엉뚱함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름없게 된다는 것에 대해 슬픔을 감출 수가 없다. 나이라는 것을 먹어가면서 사회전반적인 일반 이라는 기준에 밎춰가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생각을 자신에게 뒤집어 씌웠기 때문이다. 일반적인이라는 범주에 속하지 않으면 후에는 어떻게든 매장당하지 않을 수 없지 않을까하는 두려움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예술계열로의 목적만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꽤나 인정받을 수 있겠지만, 본인의 미래 목표가 그렇지 않다는 것에서 그 슬픈 미래를 버릴 수 밖에 없는 원인을 찾아본다.

    쨌든 이러니 저러니해도 좋은 결말은 행복하게 만든다. 사람들을… 그렇지!

    오란고교.. 그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

    문답하는 히카루와 쿄우코

    하루히 : 저기… 학원제라면 그 뭐라고 해야 하나… 수작업 성향이 강하다고 할까? 전부 수작업으로 준비하지 않나요?

    쿄우야 : 그건 일반학교에서나 그렇겠지. 이 오란제에서는 중요시되는건 기획력이랑 통솔력이야. 이 곳 학생들 대부분이 장래에 리더가 될 자질을 기대 받으며 그 힘을 어필하도록 요구되지.

    쿄우야의 대답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애니메이션의 배경은 기업 후계자들이 주로 학생으로 있는 학교(학원)이다.
    이미 애니 초기에서부터 그런 곳에 서민인 하루히의 등장으로 서로의 차이들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여러가지 들이 있었지만 어느새 잊고 있게 될 만큼이나 일반의 학원코믹물이었다.

    하지만 후반부에 접어들면서 점차 가볍지만은 않았던 각자의 사정을 이야기하고는 종지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25화에서 26화의 내용을 잠시읽을 수 있었다. 이미 26화의 내용을 본 사람들의 증언인지 제작사의 사전 공지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디에선가 하루히가 아닌 에크레르를 선택해야하는 결말이냐며 분통(!)을 터트리는 사람의 평도 봤다. 하지만 전체 내용을 알고 있어도 직접 보지 않으면의미가 없는 나에게 있어서는 역시나 기대되는 결말이다.

    이 글에 근거하여 결말을 지어버린다면, 가문을 위해 자신의 선택을 버려야 하는 그들은 어떤가. 얼마전 삼성의 여식이었던 그녀는 그런 자신의 처지에 더 비참함을 느끼지 않았을까?
    꼭 부한 것만이 행복의 척도는 아니라는 점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하루히 뒤의 스오우, 그리고 쿄우코

    그런데 파인애플이라니… (털썩..)

    딴지거는 것에 대해 감당할 자신이 없었던 것일까?

    아니면 간접광고의 가능성을 배제해 버리기 위한 것일까?

    뭐.. 애니를 보면서 드는 여러가지 생각들은 나로하여금 기쁨을 느끼게 한다.

    쨌든, 오란고교 호스트부라는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부와 인간이라는 주제로 생각할 수 있었으니, 이것으로 간접경험이 만족되려나?

    다소 허구의 정도가 강한 애니메이션이라는 공간을 통해 간접경험이라니 우스울 수도 있겠지만, 지금 본인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인간관계들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한 인간 심리 파악이 무기였기 때문에 부정적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또 한 가지 집고 넘어가야 할 것은 25화의 마지막에 등장한 타마키의 행동인데, 우리가 얼마나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자만을 쉽게 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본인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다 드러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의식적이기도 하고 무의식적이기도 한 성격 중 하나가 진짜 “나”를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양의 탈을 쓰고 악한 마음을 품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진다면 낭패겠지만, 그렇지 않다. 어떤 벽 같은게 자동설정되어서 그 사람으로하여금 cansmile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하고 예측하는 것을 어긋나게 해 버리는 엉뚱함이라고 정의내리고 싶다.
    타마키라는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조금 닮아있다.

    쨌든 지금 예상하고 있는 대로의 결말일찌라도 직접 보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기대한다.

    카툰들은…


    그저 보고 웃을 수 있으면 그것으로 만족이다. 만화라는 것은 애초에 사람을 즐겁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니던가. 아! 그런 것에 있어서는 장르별로 다른 것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재미있게 보는 몇몇 카툰들이 있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 보기 시작하지는 않지만 각각의 카툰들은 웃고 즐기기에만 좋은 것도 있고, 생각을 하게끔 만들어주는 것도 있다.

    만화라는 것은 내 인생에 들어와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용기를 주기도 하고, 희망을 주기도 했으며, 상상력을 늘려주기도 하였다.
    머리 속에 이미지를 떠 올리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던 내 머리속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준 것은 수 없이 봐왔던 영화들보다는 카툰이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위에 있는 카툰은 여러 카툰들 중에서 아! 하는 감탄사를 주었던 작품(!)들 중에 하나이다.
    반전의 재미를 알게 해 주기도 했다. ^^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동생이 얼마전에 책을 하나 사왔다. 붉은 머리칼의 여인을 흰 배경과 조화시켜놓은 표지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전에 읽었던 책은 부대에서 누구인가 가져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겉 표지 디자인된 종이가 없이 단지 두꺼운 종이에 문자로만 이루어진 미색의 창호지같은 재질의 은색 글씨색을 가지고 있었다.

    책을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은 소설을 이렇게 재미있게 일을 수 있구나하는 것이었다.
    그 이전에는 – 지금도 적잖이 그런 성향이 있지만 – 책 하나를 잡으면 한달을 가기도 했던 독력(최악 독력 극복 )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슨 책을 읽든지 정독의 수준을 넘어서서 연구를 하면서 봤었다. 책을 정독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상태라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었다.

    동생이 빌려오는 책들 중에서는 흥미를 끌만한 내용을 가진 책들이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동생이 빌려오는 책의 대부분은 만화책을 제외하고는 역사 관련된 내용들이었기 때문이다.

    쨌든 향수의 주인공 그르누이의 악마적 성질의 후면에는 인간이라는 나약한 존재의 모습을 감추지 못하고 드러낸다. 측은한 생각마저 들게 만드는 캐리터이다.

    마지막까지 자신의 작품으로 세상을 조정(!)하는 그의 모습에서 악랄함보다는 외면받는 그의 모습의 불쌍함을 느꼈다.

    읽은지 몇년이 지나버려서 전체의 내용은 생각나지 않는다. 단순히 단편적인 느낌들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책이라는 것이나 지식의 습득, 인간사의 무엇이든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없다면 곧 잊게 되는 것이다. 어차피 스토리 라인만 기억될 것들, 단지 어떤 부분에서만 영향이 끼쳐질 것들을 정독했던 내 모습이 조금은 어리석게도 느껴진다.

    뒤주 박죽 포스팅… ㅋ

    오만과 편견(2005)

    오만과 편견이라는 영화가 나왔을 때 예고편을 보기 전에 이미 그 제목으로부터 끌림을 받았다.
    제목에 있어서 관심이 가는 작

    품들에 대해 그다지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 번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당시의 나로서는 영화를 볼만한 시간적 여력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동생을 위해 잠시 들렸던 서점에서 같은 제목의 소설(영화의 원작)을 슬쩍 읽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오늘은 그 잊었던 희망(!)사항을 이루었다. 책으로 읽었을 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일단 영화의 흐름에 있어서는 소설 전체 내용을 살피지 않았기 때문에 원작을 얼마만큼이나 잘 살려내었느냐는 것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무도회장에서의 카메라 동선은 어지러운 듯 하지만 그 나름의 소설의 내용들을 충실히 살려내기 위해 노력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한 사람이 이동하면서 살피는 듯한 시선처럼 촬영을 했다는 것에 있어서는 좋은 느낌이다.

    영상면에서는 그 이후에도 높은 선예도를 가진 화면들하며 완전히 어둡지만은 않은 경쾌한 영상들이었다.

    사랑.. 그리고 서투른 그들의 표현들이 낳은 결과와 결말!
    오랫만에 작품다운 영화를 감상했다.
    뭐… 한국영화의 작품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려고 마음먹으려 하니 또 다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하는 영화들이 쏟아진다.

    제대로 만들어놓은 좋은 영화들은 어둠의 경로를 통해 보고서도 또 다시 극장에서 보고 싶어진다.
    웬지 극장에서 보는 그 맛(!)은 다르기 때문이다.

    여러 영상 중 웬지 독특한 느낌을 갖게 했던 장면이다.

    사진은 내 인생에 있어서..

    단지 취미생활의 하나일 뿐이다. 활동하는 주요 분야는 웹 프로그래밍이지만, 주요 모임 등에서는 사진을 맡고 있다. 처음 사진을 맡게 되었을 때는 준전문가용이기는 하지만 꽤나 사람들의 구미에 당기는 사진을 만들어냈기도 했고, 웬지 사람들에게 그런 대접을 받는 다는게 흡족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사진에 대해 불평을 듣게 되었을 무렵부터 사진에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그냥 기분 탓이려니하고 넘어가버렸다.

    확실히 처음 사진을 시작했을 때의 사진보다 지금의 사진이 더 형편없다고 생각된다.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보건데, 그들에 대한 애정이 식어버렸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진들을 비교해 보면 그렇다. 관심의 대상인 피사체를 찍은 것들은 초점이 맞지 않더라도, 대게는 기분 좋은 느낌을 담고 있다. 준전문가용을 갖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똑딱이 카메라(CoolPix 775)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당시의 사진들을 검색해 보면 최근래의 사진보다 훨씬 좋은 느낌의 사진들이기 때문에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진을 찍기 시작하는 것은 – 직업으로 삼기 위해 시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서 – 가족들을 찍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카메라 동호회 사람들을 만나보면 아이의 아버지 또는 어머니인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결코 적다고 할 수는 없다. 뭔가 기록을 위해서라거나 그저 다른 사람의 찍는 모습이 멋져보이고 멋지게 담고 싶어해서 찍는 경우도 많다.
    사진을 시작한 이유를 찾아 더듬어 보자면 중학교 시절 – 물론 전학 오기전 홍익사대부중 – 에 특별활동 시간에 뭔가 관심이 가는 것이 없어서 조금이나마 관심이 가게 된 곳이 카메라 부서였다. 담당 선생님은 기술 선생이셨던것으로 기억된다.

    쨌든 사진에 대해 기본적인 것들을 배웠고, 당시에는 필름카메라가 주류였고, 일반 가정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된다는 것이 부르주아 급(!)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했던 때였다. 그 때 사용했던 카메라는 얼마전에 집안에서 발견되어 추억을 회상하게는 했으나, 오랜 세월의 무관심으로 배터리 부분에 녹이 슬어서 쓸 수가 없게 되었지만, 그 시절의 내 작은 희망을 기억하게 해 주었다. 별것 아닌 희망이었지만, 그건 세상에 모든 것을 담고 싶다는 것이었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모든 것을 다 담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렇게 많은 것들을 내 마음속에 담아두는 동시에 기록될 만한 어떤 것으로 담고 싶었던 듯하다. 그 때나 지금이나 비디오 카메라라는 매체가 있었지만, 역시 내게 있어서는 동적인 것보다는 정적인 것으로 담아야 한다는 생각이었고, 또 동적인 것에는 생각의 여유를 주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정적인 화면에서 얻을 수 있는 상상력의 여지는 삶에 짧은 활력소이기 때문이다. 상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웬지 아직 어린아이이고 싶어하는 본인의 소망을 단순간이라도 이루어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쨌든 삶에 있어서 사진이라는 것은 단순히 취미활동에 불과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얻어지는 기쁨이란 취미활동 이상의 것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반환된다. 사진은, 내 평생의 취미활동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멋진 신세계를 만들겠다는 우리들의 영웅이 권력을 얻고나면 잔인하고 파렴치하고 이권을 챙기고 비인간적으로 되어버리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급우편에 서겠다던 반장은 선생님 편이 되어버리고, 국회의원은 제맘대로 당을 바꾸고 뒷돈을 챙긴다. 급우나 지역구의 여론은 안중에 없다.
    회사라 하여 예외가 될 수 없다. 진급이나 승진을 하여 보다 권력있는 자리에 올라가는 것도 마찬가지다. 과장 승진을 하면 대리 때보다 목에 힘이 더 들어가고 아랫사람을 부르는 호칭이 달라진다. 걸음걸이가 느려지고 어꺠를 펴면서 등이 뒤로 휘어 배가 나오게 된다. 옛날의 그 대리가 아니다.

    유쾌한 심리학 ::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 권력 편

      확실히 자리는 사람을 만든다. 나 역시 그런 경험을 해 보았기 때문에 다른 존재가 된다는 것에 공감한다. 군을 부사관으로 전역했는데, 애초에 지원한 목적 중에 하나가 변화였다. 그 변화라는 것은  조금더 외향적이고 활동적이며,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화를 원했다.

      물론 전역한 지금 그런 노력들의 결과로 긍정적인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군 생활은 나로하여금 어떤 다른 인간의 모습을 가지게 했었다. 뭐랄까.. 조금 더 권력 의존적인 행동을이라고 표현하면 적절할까. 어느 집단에든지 수직적인 관계로인해 갈등은 있게 마련이다. 그런 다른 집단들보다 조금 더 많은 강제권을 가진 곳이 군이라는 집단이고, 그런 곳에서 권력을 가진다는 것은 그만큼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이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짧은 군생활을 했기 때문에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지는 못했지만, 지휘하고 있는 곳에서는 스스로 왕이라고 느껴질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었다. 지금 되돌아보건데 결코 다시 하고 싶지 않은 실수들이 많았다.

      군에 처음 입대했을 때 외향적이며 적극적인 행동과 사고방식을 가지자는 목적과 함께 다짐했던 것이 폭력행사나 욕설을 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군입대전 – 그리고 지금 – 신분이 신학생이었기 때문에 더욱 그런 다짐을 굳게 하지 않으면 안되었기도 했었다. 하지만 자리는 사람을 변하게 한다. 긍정적인 면이 있으면 부정적인 면도 있는 것이 세상 이치인것이다. 처음 1, 2년 동안은 다짐을 했던대로 부하들에게 욕설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 정이 없고 약삭빠른 부하들이 많아졌고, 또 이전보다 군기가 헤이해졌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 사건들로 인해 그들에게 더 이상 정을 가지고 대할 이유가 없어졌다고 생각되었다. 또 상급자들로부터 군기를 바로잡아야하지 않겠냐는 주문을 간접적으로 받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렇게 생활하던차에 군에서는 작은일이라고만 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옆 중대에서 전역신고를 하지 않은채 행정병을 괴롭혀서 전역증을 미리 받아 아침 일찍 아무도 모르게 나가버린 사건이 벌어졌던 것이다. 게다가 근무하고 있는 중대에서는 휴가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고, 중대장님과의 면담도 거치지 않은채 나가는 사태까지 벌어졌던 것이다. 군이라는 집단은 신고가 가장 기본인것을 그들이 몰랐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병사 신분 중에서는 가장 높은 병장의 계급을 가지고 있었고, 전역한 그들 스스로는 준장, 소장, 중장, 대장 다음이 병장이라고 할 정도로 결코 경험이 없다는 핑계를 댈 수 있을 만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회사의 직급으로 따지자면 과장 바로 밑인 대리격이다.

      조금 주제에 어긋나기는 했지만 그런 상태에서의 내 행동은 조금 더 과격해지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했고, 저녁에 근무를 서면서 중대소속의 부하들을 모두 모아놓고 적잖이 과격한 방법으로 폭력적인 언어와 행동을 취했다. 물론 여러분들이 흔히 생각하는 구타가 만연한 그것이 아니다.

      지금 다시 생각해 보면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지만 당시로서는 그렇게 할 필요성이 느껴지는 자리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평화적이며 비폭력적인 방법들로 여러면에서 접근했을 때 여러 번 실패를 경험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인간이란 강제력이 없으면 안되는 상황에서 톱니바퀴처럼 돌아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도 그럴 것이 원해서 간 곳이 아니기 때문에 생활 자체도 적극적이지 못할 수 밖에 없다.

      조금 다른 얘기지만 게중에는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으로 상급자인 나로하여금 본받을 만하다고 생각됐던 부하들도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끊이지 않고 있었다.

      쨌든, 이 글에서 하고 싶은 말은 조직에서 어떤 자리에 오르게 되면 자신이 원하지 않아도 그 자리에 있게 되면 하지 않으면 안될 행동으로 인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를 인정한다는 것(엑스맨 – 최후의 전쟁)

    엑스맨의 원작자는 무엇을 말하려고 했던 걸까?

    극중 챨스 세비어와 매그니토는 자신들(뮤턴트)의 자유를 찾는 방법에 있어서 평화적이냐 비평화적(폭력적)이냐의 차이를 가졌을 뿐이다. 그 둘에 있어서는 그렇다.
    세비어의 죽음에 대해 매그니토는 훌륭한 존재의 죽음이었다고 평한다. 이런 것에 있어서는 우리네 정서와 다르다고 생각된다. 모든 이들이 그런것은 아니지만, 상대방을 인정해 줄 수 있는 분위기라는 거다.

    전에 미국의 대통령 선거 후에 패자인 대통령 후보가 – 진심이었건 쇼맨십이었건 간에 – 당선 대통령 후보에게 박수를 보낸 것이 기사화 됐던 적이 있었다. 그런 사실을 접했을 때 참 멋지다고 생각되었다. 우리나라의 정치인들의 행태를 보면 그들이 진정으로 멋져보이지 않을 수 없다.

    대개의 사람들은 자신을 인정하기도 벅찬 것이 사실이다. 자신의 어떤 점을 인정하지 못해서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사례도 있다.

    삶을 살아가면서 모토랄까? 기준이랄까? 내 자신에게는 철저하게, 상대방에게는 관대하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간다. 예를 들자면 이런 것이다. 약속 시간에 늦는 문제에 있어서 내게 있어서는 가감 5분이 최대라고 생각하고 약속시간보다 일찍 나가려고 한다. 그러나 상대방에게는 조금더 관대하게 가감 1시간 정도를 허용해 준다. 뭐… 1시간 밖에 안되는거냐고 한다면 할 말 없지만, 자신에 대한 기준을 생각해 봤을 때 적잖이 관대하다고 생각된다.

    상대를 인정해 줄 수 있으려면 그들에 대해 조금 더 관대해야하지 않을까.

    비논리적인 글들은 언제쯤이나 논리적이어질 수 있는 것일까?
    스스로 읽어봐도 궤변 수준인 글들을 끝없이 남기며…

    언젠가는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글을 작성할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을 가지며…

    오란고교 호스트부

    요즘 재미있게 보는 애니메이션 중 하나가 오란고교 호스트부이다.
    처음엔 아무생각없는 그저 웃기기만 한 내용이려니 하고 웃으며 보고 말 내용이라고 치부해버렸다. 그런데 최근의 내용을 보면서 부장인 스오우가 호스트부원들의 상처(!)를 치유해나가면서 개설했다는 점이 마음에 남는다.

    히카루, 카오루 쌍둥이 형제가 둘을 구분해 보라며 스오우에게 따지는 듯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샷

    특히나 이 두 쌍둥이 형제(히카루, 카오루)들의 내용은 머리가 굵어지고 어느정도 생각을 정리하게 된 시점부터 느꼈던 소외감에 대해 해결점에 가까워지도록 만들었다. 인간은 하나 또는 둘, 그 이상의 집단에 속해있더라도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집단이라도 독립적이다. 그 집단에 속해 있는 인간은 개별적인 존재로서 독립적이다.

    쨌든,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인 동시에 온전히 독립적인 동물인것이다.

    수 없이 외로움을 느껴가면서도 혼자가 아니라고 애써 그 사실을 감추려한다. 자신은 외롭지 않은 존재이기를 갈구한다.

    간소한 문양이 새겨진 먼지 쌓인 금 자물쇠
    간소한 문양이 새겨진 먼지 쌓인 금 자물쇠가 쇠사슬에 걸려있는 부분이 크로즈 업 되어 있는 사진

    그러나 그런 인간은 다른 사람들에게 접근하려는 속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굳게 닫혀 있는 자물쇠를 풀고 그(그녀)와 함께하기 위해서 노력하기도 한다.

    내 자물쇠를 열고 들어와줄 사람은 없는건가… 스스로 벽을 형성하고 그 벽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방어해버리는 걸지도 모른다.

    나란 인간은 그렇다.

    외롭지 않으려하지만 끝내는 외로워져버리는.. 그런 허술한 인간관계를 가졌으면서, 그렇지 않으려 노력하는 존재

    이건… 완전… 궤변 수준인건가… ㅡ.,ㅡ;

    푸코의 진자

    지금 한창 재미있게 읽고 있는 책이다. 필자에게 있어 이 책의 저자인 움베르토 에코는 논문 작성법과 장미의 이름으로 친숙했는데, 장미의 이름은 영화로 먼저 접했던 기억이 있다.

    이 책을 읽어가면서 프리메이슨에 대한 자료들을 읽어봤는데 적잖이 황당한 내용들이 많이 있다. 이 책을 접하기 전에 읽었던 책들이나 영화들이 이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되어진다. 사람들이 이러 저러한 책들을 읽어가면서 상호 연관성을 통해 더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했던 말이 새삼 체험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까소봉, 야코포 벨보, 디오탈레비라는 세 명의 주요 등장인물들이 추적해 나가는 모양새를 보는 것이 이 책의 재미라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이 책은 동생이 구매해서 읽고 있던것인데 나름대로 어렵지 않느냐는 질문을 해 왔는데, 필자는 사실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읽어내려가고 있었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우연하게도 최근에 읽고 본 책과 영화들의 주제 또는 그 구성 요소들에서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들을 이미 알도록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

    까소봉이 대학 논문을 성당기사단이라는 주제로 정한것은 우연이지만 그것 때문에 그 이후의 삶에서 그것과 뗼레야 뗄 수 없는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보면 졸업논문 주제를 잘 선택해야겠다는 엉뚱한 생각도 든다. 사실 대학교 2학년 1학기를 마치고 군에 갔는데, 군에서 졸업 논문 주제를 미리 정해서 복학하면서 그것에 대해 깊이 연구해서 작성해봐야겠다는 의미있는 결심을 한 적이 있는데 그 동안 철저히 잊혀졌다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생각하게 되었다.

    2권을 막 다 읽고 난 후에 이 글을 적고 있는데, 3권이 꽤나 기대가 된다. 그리고 이 책의 페이지 번호가 1권에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참 새로웠다. 책과 인연이 없어서라고 생각되어지기는 하지만 이렇게 페이지 번호가 이어지는 책은 처음 접해봤기 때문이다. 지금 글을 적으면서 든 생각인데 이 책의 원본은 3권까지 쭉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휴~ 이미 탄력 받은 상태라서 3권을 쭉 읽어나가고 싶지만 3권은 어디론가 보이지 않는 곳에 있기 때문에 내일 근처 도서관에서 빌려봐야겠다. 부천 시립 도서관에 조회해 보니 집 앞에 있는 도서관에 3권이 있다.

    기슭에 머물러 있을 것인가?

    움베르토 에코의 푸코의 진자(한국어판)를 방금 다 읽어냈다.

    전에도 몇 번인가 쓴 적이 있지만 책을 다 읽어낸다는 것은 일단 그 책의 난해함, 분량에 상관없이 엄청난 일이다. 읽는 것이 주는 즐거움은 차치하고 읽는 속도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처음 책을 – 이전에도 많이 읽었지만 계속 읽기 시작한 이후로 – 읽었을 때보다 훨씬 빨라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보통 한 달이 걸리던 한권의 읽기 속도는 몇 주 내지는 몇 일만에 읽을 수 있는 수준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해 굳이 흡족해 하는 것은 책 읽기 속도가 느리신 분들은 공감하리라 생각된다.

    쨌뜬 이 책의 마지막권인 3권에서 역자인 이윤기씨는 도움말을 별도로 넣으려던것을 그만두었다면서 에코 교수의 말을 인용하여 넣었다.

    작품이라는 것은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나는 내 작품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독자들을 가로막고 섬으로써, 혹은 작품을 가로막고 섬으로써 그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내가 자아서 훼손할 생각은 없다.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푸코의 진자 3,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2006, p. 1191.

    그렇다 나는 어떤 분야의 것이든지 일단 평판을 제쳐두고 직접 확인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사람의 감상이나 느낌, 또는 작가(감독)의 의도 따위는 이미 상관이 없는 사람이다. 그들이 어떤 의도를 가졌느냐 혹은 어떤 메시지를 넣었느냐는 나 자신이 생각하는 그 작품의 의도, 메시지를 구해내고 나서 필요해진다.

    다른 사람의 것들을 무시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보다 순수한 자신의 생각을 가지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면에서 에코 교수의 한 마디는 필자의 행동에 대한 한 근거로써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에코 교수가 부러 작품의 초반부에 난삽한 글이 있는 까닭에 대한 이유가 걸작인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 내 책 머리에 길고 난삽한 글이 실려 있는 데는 까닭이 있다. 원고를 읽어본 내 친구들과 편집자들은, 너무 어려워서 읽으려니까 진땀이 나더라면서 처음의 백 페이지를 줄일 수 없느냐고 했다. 나는 두 번 생각해 볼 것도 없이 그 자리에서 거절했다. 나는 그들에게, 어떤 사람이 낯선 수도원에 들어가 이레를 묵을 작정을 한다면1 그 수도원 자체가 지닌 리듬을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런 수고를 할 생각이 없는 사람은 내 책을 읽어 낼 수 없다. 따라서 난삽한 첫 부분은 나의 호흡을 따라잡기 위해 독자가 마땅히 치러야 하는 입문 의례와 같은 것이다. 이 부분이 싫은 독자에게는 나머지도 싫을 수 밖에 없다. 그런 사람은 산으로 올라갈 것이 아니라 산기슭에 남아 있는 것이 좋다. 소설로 들어간다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 산을 오르자면 산의 호흡법을 배우고, 산의 행보를 익혀야 한다. 배울 생각이 없으면 산기슭에 남아 있으면 되는 일이 아닌가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푸코의 진자 3,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2006, p. 1190.

    그렇다! 배울 생각이 없으면 산기슭에 남아 있으면 되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어려운 부분에 대해 동생이 잘 읽히느냐는 질문을 해 왔다. 어머님께서도 읽어보시려 하셨는지 똑같은 질문을 해 왔다. 필자는 어떤 것이든지 일단 시작하면 끝내려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끝까지 읽은것이기는 하지만 저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군에 입대하기 전에는 관심을 가지는 분야를 제외하고는 공부와 벽을 쌓았다고 할만큼의 수준이었다. 하지만 전역을 하면서 공부라는 것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 공부다운 공부를 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하는지 막막하기만 했다. 하지만 어떤 것이든 하다보면 알게 된다. 경험이라는 것은 그런 면에 있어서 중요하다. 뭐든 어렵더라도 일단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공부 역시 지금 당장은 어렵고 피토하고 쓰러질 것 같아도 계속 하다보면 자신만의 요령이 생기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공부는 그 이전에 받았던 성적의 두배수에 달하는 평점을 받도록 해 주었다. 컴퓨터에만 국한 되었던 집중력은 공부에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던 것이다.

    누구든 산기슭에 남아있고자 한다면 정상에 올랐을 때의 기분이나 산 속에 들어갔을 때의 그 기분을 전해주고 싶은 생각이 든다. 사실 에코교수는 자신의 책을 읽을 자격시험을 작품의 초반부에 장치해 놓았기 때문에 산기슭에 남아 있으면 된다고 하였지만 실상은 산에 오르기를 바랐다고 생각한다. 산에 올라 그 정상을 점령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산에 정상에 올랐다고 해서 완전히 그 산을 정복했다고는 할 수 없다.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끝까지 읽었음에도 아직 모자란 감이 있다.

    이런 작품이 더 매력이 있는 것은 필자의 성격이상 때문일까?

    1. 실제로 “장미의 이름”은 이렇게 시작된다[]

    죽어가는 뇌를 자극하라

    Brain TRainning 80

    어제 이 책이 누군가에 의해서 부대로 들어왔다. 일단 부대에 있길래 들고오긴 했는데,

    아침에 이 책을 찾느나 책 주인이 난리를 했다는 소릴 듣고서야 내일 갖다주겠노라고 얘기했다.

    ㅎㅎ… 근데 처음 읽는데 흥미가 당긴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들에게 넌 머리는 좋은데 공부하지 않아서 성적이 좋지 않은거다 라는 얘길 몇번 즘 들은 사람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초반부에서는 이 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준다.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 내 흥미를 끄는 여러 문단들이 있는데, 뒤에 여러가지 문단들은 책 사서 보고 내가 지금 읽은 부분 중에서 마음에 드는 부분만 몇개 올려 본다.

    흔히들 “저 사람은 머리가 좋다”라든가 “저 사람은 머리가 나쁘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아니다. 뇌를 두고 천재와 둔재를 따질 수 없다. 즉 좋은 두뇌도 없고 나쁜 두뇌도 없는 것이다. 사실 머리가 좋다는 것은 머리가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시야가 넓고 의욕이 있으며, 발상을 전환할 수 있고 호기심이 강하며, 감동을 잘하고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며, 생명을 존중하고, 그리고 건강한 것을 말한다. 요컨대 심신이 모두 건전한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다.

    흐흐.. 특히 주황색이고 두껍게 칠해진 부분이 마음에 든다. 쩝… 이전의 내 모습이었기때문이다. 감동을 잘하는 것으로는 모자라.. 간혹 울어버리기도 하기 때문에.. ㅡㅡ.. 남자로서는 그다지 좋은 것 같지는않다만.. 감동할 때는 감동 팍! 팍! 해 줘야지!! 아니 그러하오!! ㅋㅋ

    자꾸 뇌를 자극해줘야 늙어가면서 죽어가는 (뇌세포들을 살리진 못하지만 계속 늘려가면 보상 받는거아니겠어? 힘들어도 자꾸 자극 해주자… 포기하는 것… 어깨를 축 늘어뜨리는 것은 뇌의 활동을 정지시키는 지름길이라는게 이책의 내용이다. 뭐 80개나 되는 힌트를 담고 있다고 하니 한번 읽어 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모나리자 스마일

    모나리자 스마일의 그녀가 주연으로 나온다.
    흐음… 그녀가 누구냐구?
    모나리자 스마일이라는 영화에서 그녀는 어쩔 수 없는 운명을 끝내 거부하지 않는 역할로 나오는 그녀징.. 누구갔어? ㅡㅡ

    Julia O’Hara Stiles(줄리아 스타일스) 얘기하는 거야.ㅎㅎ… 난 참 특이한 여성관을 가지구 있어.

    편하고 털털하고.. 뭐 그런 여성들을 좋아해. 물론 그녀는 이쁜이지. 글쎄.. 그 사람을 직접 대면해 보진 않았지만 느낌이거든. 대외적으로만 나타내는 성격이나 외향일 지도 모르지만 말이야.

    내 남자친구는 왕자님이라는 영화는 영국의 왕자가 미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응큼한 목적을 가지구 미국에 있는 대학에 입학하는 것으로 사건이 시작되지. 물론 그 왕자는 사고뭉치에 왕권계승자라는 소명의식 따윈 그다지 없는 인물이지.

    그런데 말이야. 그 왕자가 수 많은 스캔들을 내고 다녔던 인물이고, 미국에 간 이유가 미국 여자의 가슴을 쉬이 볼 수 있다는 환상을 쫓아서 간 것이라도, 한 가지는 확실하거든?

    그건 뭐냐면! 그는 사랑에 빠졌다는거야!진짜 사랑! Real Love!!!

    글쎄.. 그런게 있을진 모르지만 극중에선 그런 사랑을 하게 되지.. ㅋ

    모나리자 스마일 포스터, 여인네들이 서로 바라보다
    Julia
    Julia O’hara Stiles

    근데 이 영화 보면서 네가 되고 싶은 것을 위해서는 너 자신을 포기해야 한다라는 대사에서 내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어.

    내 처지라는게 별거 있나? 문제가 되지 않을 걸 혼자 고민하고 있는 우매한 나를 탓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
    ㅋㅋ 어쨌든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뭐.. 어쨌든 줄거리 얘기해 주는거 매우 싫어하는 나로선 더 이상의 많은 줄거리를 얘기해 줄 순 없지만 마지막에 왕자는 여왕의 자리에 앉게 될 지도 몰랐을 그녀에게 이렇게 말한다.
    난 너를 기다릴 수 있어, 니가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가 될 때까지 말야.
    후훗..

    에이미 로섬이라는 군..

    투모로우 보면서 명석한 두뇌를 가진 저 여인은 누구인가 굉장히 궁금해 했었다. 에이미 로섬이라는 86년생 여배우라는군.

    흐음.. 뭐 오늘 병사들 데리구 와서 집에서 영화 상영을 했었는데 뭐 나름대로 지루한 영화란다.

    난 사실 이런 영화 좋아하는 편이다. 저예산 영화이든 블록버스터 간에 뭐 어쨌든 영화는 거의 다 좋아하는 편이다. 사람들은 어떤 영화는 망했으니까 보지 말자 라는 말을 종종하곤 한다. 하지만 망한 영화라고 배울 점이 아주 없진 않다. 뭔가를 얻으려는 노력이 그 망한 영화에서 얻을 수 있게 한다.

    물론 가끔 정말 진짜 보지 않았었더라면 하는 영화도 간혹 있긴 하다. 얻을 거 전혀 없는 것들 말이다. (웬지 촬영 스텝들만 잔뜩 고생한 듯한 영화를 말하는 것)

    영화를 보면서 사람들의 시각의 차이를 매우 많이 경험한다. 나랑 친한 친구들 2명을 포함한 3명은 각 각 한 영화에 대해 냉담하거나 엄청나다는 반응을 보였었기 때문이다.

    영화는 그런것이다. 영화 뿐만이 아니겠지만 어쨌든 난 영화가 좋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