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용 Scrivener 3.0 출시 후보 16 출시 문서

좋은 판단이었다

책을 스캔해서 보게 된 것이 20년 정도인데, 뇌과학과 관련한 동영상을 보고 나니 좋은 판단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조카가 중학교에 입학하게 되어서 ‘태블릿을 입학 선물로 줄까?’하고 검색하다가 교보에서 나온 전자책 단말을 보고는 조카에게 괜찮은지 물었다.

워낙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라 1년 동안 무제한 요금제로 볼 수 있다는 말에 무척 좋아하는 모습을 보면서 바로 주문하였다.

주문을 해 놓고 기기에 관련한 내용을 검색하다 종이책과 전자책, 어느 쪽이 좋나요? (feat. 뇌과학)이라는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참 기분이 좋았다.

스캔의 시작

20년 전 대학에 입학하고 책을 무겁게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찾다가 집에 있는 스캐너를 활용할 생각을 했다.

베타 테스트를 위해 받은 스캐너

당시 아버지께서는 한국인식기술의 이인동 박사에게 스캐너를 지원받아서 쓰고 계셨는데, 글눈(하이아트)이라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구매해서 가지고 계신 책을 스캔하시면서 사용하셨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문제를 확인하고 요청하는 사이에 스캐너를 받으셨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으로 말하면 베타 테스터정도의 역할을 위해 받으셨던 모양이다.

그 때의 글 눈의 한국어 인식은 꽤나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은 ABBYY사의 Fine Reader를 구매해서 쓰고 있는데, 한국어에 있어서는 당시의 글눈의 인식률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

그 때 받은 스캐너는 평판 스캐너였는데, 꽤나 성능이 좋은 편이었기에 당시에 스캔한 책은 최신 기기로 스캔한 것과 견주어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2

화면으로 보는 책

그 때부터 책은 PC 화면을 통하여 보았고, 학교 수업에 필요한 부분만 가지고 가서 보았다.

군생활을 마친 후에는 여유가 있어서 랩탑을 들고 다니면서 수업을 들었기에 거의 책을 들고 다니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주변의 사람들이 종이로 문서를 보는 것이 편한 반면, 화면으로 보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반대의 현상을 겪고 있다. 종이로 책을 볼 때 장 시간 집중하는 것이 어렵게 여겨지기도 한다.

복사기 렌탈

그렇게 시작하여 20년이 넘는 시간을 책을 스캔해서 보관하여 놓고, 태블릿이 쓸만해지기 시작하면서 구매하는 책을 모두 스캔하여 보고 있다.

대학원에 다니면서 학교에 있는 삼성 복사기를 만났는데, 사용해 봤던 다른 어떤 복사기보다 스캔 기능이 좋았다.

대학원 원우회에서 복사기를 렌탈하여 비치하고, 종이만 가지고 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두었는데 너무 좋은 기능을 보고 대학원을 졸업하면서 집에 복사기를 렌탈하였다.

여동생이 수학 개인과외를 하면서 학생들의 오답 노트를 만들어 주기 위해 인쇄할 일이 많다는 사실을 말하면서 잉크 값으로 한 달에 6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었다.

그 얘기를 듣고 알아보니 복사기 렌탈이 7만원 정도였다. 렌탈 비용은 출력하는 양에 따라 정해졌는데, 스캔이 주 목적이고 동생이 사용하는 양은 기껏해야 최소 요금제가 제공하는 양보다 적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책을 자르는 일은 수고롭지만, 제단기를 살 정도로 한 번에 몇 십 권씩 사지는 않으니 큰 문제가 아니었다.

자르고 나면 복사기 상단에 넣어놓고 버튼 한번만 누르면 양면 스캔이 되니 그 마저도 크게 수고롭지 않다.

전자책보다 학습 효과가 좋은 종이책

위에 언급한 영상을 보면 종이책이 전자책보다 학습효과가 좋다는 내용이 나온다. 종이책은 정보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서 학습에 용이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자책으로 보더라도 PDF처럼 내용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3

그 내용을 접하고 생각해보니 참 기분이 좋았다. 편리하면서도 학습에 좀 더 용이한 방식으로 책을 보고 있었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았다.

좋은 판단이었다

개인적으로 PDF로 보관하고 있는 책의 수는 2014년에 없어진 이후 점점 늘어나서 6년 동안 800여 권 정도가 되었다.4

복사기를 렌탈하기 전에는 서적 스캔하는 업체에서 한 권당 2천원에서 4천원 정도를 들여서 스캔했었다.

가지고 있는 책을 3천원씩 주고 스캔했어도 지금까지 지출한 렌탈비보다 훨씬 많은 비용이다.

비용이나 편의성을 생각해 보았을 때 처음에 좋은 기회로 시작하였던 책을 스캔해서 보는 판단은 좋은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1. 안타깝게도 2002년 이인동 박사가 별세하면서 그의 아내인 송은숙 씨가 업을 이어갔지만 지금까지 사업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2. 클라우드 파일 공유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외장하드에 저장해 두었는데, 2014년 시게이트 외장하드 4TB가 망가지면서 거의 없어졌다.[]
  3. PDF 형식이 아니더라도 위치 정보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댓글에 달려 있기도 하다.[]
  4.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스캔하는 것이기에 물론 스캔한 책을 공유하지는 않는다.[]

워드프레스 5.6 한국어 번역 제공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번역에서 아쉬운 점은 일관성이다.

여러 사람이 번역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는 완벽할 수는 없으니 개인적으로 일관성 있는 표현으로 정리한 번역을 제공하고자 한다.

곧 있으면 5.7이 출시하는데, 이 번역을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번역을 계속 제공하려고 한다.

워드프레스 5.6 한국어 번역

물론 개인이 번역하였으니 모자란 점이 분명히 있을 것이고 이상한 점도 있을 것이다.

문제가 있으면 로그인하여 알려주기 바란다.1

직접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면 압축 파일을 풀어 워드프레스 설치한 폴더(디렉토리)에 있는 wp-content의 languages에 복사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 번역은 익숙한 표현들의 상당 부분이 다르다는 사실을 고지한다.2

  1. 익명으로 제보하는 것도 좋지만, 이 사이트는 로그인한 사용자에게만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였다. 어떻게든 달아 놓은 것은 보겠지만, 개인적으로 확인만 하고 승인은 하지 않을 생각이다.[]
  2. 업데이트 > 업대이트, 데이터베이스 > 대이터배이스, 페이지 > 패이지, 이메일 > 이매일…[]

윈도우즈용 Scrivener 3.0 출시 후보 15 출시 문서

스크리브너 윈도우용 구역유형&이름표&상태 단축키 이용

스크리브너(Scrivener)로 글을 작성하면서 키보드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작업(Project)을 진행할 때가 있다.

키보드로 서식을 지정하거나 문단 서식을 바꿀 수 있도록 지정해 놓으면 편리하다.

글을 작성하는 중에 서식화를 하지 않고, 글을 먼저 작성하는 사람에게는 크게 유용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짧은 글을 자주 쓰는데, 글의 구역 유형(Section Type)이나 이름표(Label), 상태(Status)를 자주 바꿀 때에는 마우스로 이동하여 바꾸며 쓰다 보면 머리 속에 떠오르는 것을 정리하면서 바로 상태나 구역 유형을 지정할 수 있다면 날아 가버리기 에 작성할 수도 있고, 정리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글의 견본(Templete)을 미리 만들어 놓아 저장해 놓고, 견본에 구역 유형, 이름표, 상태에 단축키를 지정해 놓으면 편리하다.

개요자(Outliner)나 메모지철(Binder)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르면 나오는 단축 메뉴(Context Menu)를 부를 때, 윈도우의 경우 키보드에서 메뉴 키를 눌러도 같은 역할을 한다.

구역 유형, 이름표, 상태 단축키 지정하기

작업 설정(Project Settings)을 열면 구역 유형, 이름표 목록, 상태 목록을 수정할 수 있다. 작업 설정은 작업(Project) 메뉴를 누르면 나오고, 윈도우용 단축키1윈도우키 + Alt + ,를 누르면 열린다.

작업 설정 화면

여기에서 위와 같이 구역 유형의 이름에 &(앰퍼샌드)를 넣고 원하는 단축키를 넣어 두면 된다. 이름표 목록과, 상태 목록 역시 같은 방식으로 이름을 바꾸어 놓으면 메뉴 키를 누르고 단축 메뉴에 나오는 구역 유형(t), 이름표(l), 상태(s)에 해당하는 단축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기

그럼 개요자나 메모지철에서 구역마다 구역 유형을 지정하거나 이름표와 상태를 바꿀 때 메뉴 키 – 단축키 – 지정한 하위 단축키를 순서대로 누르는 것만으로도 빠르게 바꿀 수 있다.2

  1. 출시 후보 14 기준[]
  2. 맥용은 사용해보지 않아서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또 다른 방법이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