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

귀찮다는 말은 우리가 일상에서 적지 않게 사용하는 말 중의 하나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어떤 계기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사람도 더러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적잖이 사용했는데, 만사가 귀찮게 여겨질 때도 있어서 어떤 것을 하던지 귀찮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았던 때도 있다.

언젠가 TV에서 드라마를 보는데 극중 할머니 분을 맡은 배우에게서 나온 대사중 하나가 귀에 띄었다.

······ 귀치 않아.

어랏 저게 귀찮다는 말의 원래 말인가? 하는생각으로 금새 이어졌다. 그 당시에는 그 정도로 생각이 그쳤지만 그 후에 몇 번인가 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지금 다시 생각해 보면 귀하지 않다에서 귀치 않다를 거쳐 귀찮다로 줄어들었다고 추측된다.

귀찮다의 시작말인 귀하지 않다는 어떤 말인가. 귀하다 / 귀하지 않다는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를 가르는 말이고 가장 일반적으로는 어떤 행동에 대해 사용하고 있기에 그에 대한 가치가 낮다는 표현이다.

다른 용례는 접어 두고 이 글에서는 교회에 가는 것이 귀찮다는 것으로 글을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교회는 종교적으로는 해당 종교의 신에게 일종의 행위를 하기 위한 장소를 말한다. 불교의 경우 사찰이나 법당, 힌두교나 기타 종교에서는 신전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대상으로 예배를 드리기 위한 장소를 교회라고 한다.

교회에 가서 하는 일 중에 가장 큰 일은 예배(Worship)이다. 예배는 최고의 가치를 하나님 앞에 드리는 행위라고 일축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회에 가기 귀찮다는 말은 교회에 가는 것이 귀하지 않다는 뜻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교회에 갈 수 없는 상황에서는 귀찮다는 말을 사용할 수 없다. 귀찮아서 가지 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갈 수 있는 상황에서 귀찮다는 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에서 말한 교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행위인 예배를 귀찮아하는 것으로 이어 갈 수 있겠다. 교회에 가는 것은 대부분이 예배를 드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성경에서는 우리가 창조된 목적이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그를 위해 지음 받았다고 기록되어있다. 예배를 드리는 것은, 즉 다시 말해 최고의 가치를 드리는 것은 사람이 창조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행동을 귀하지 않다고 치부해버린다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죄가 아닐까.

교회 가기 귀찮아. -=> 교회에 가는 것이 귀하지 않다. -=> 예수 만나는 것의 가치가 적다.

교회는 모임의 장소 교제의 장소 예수와의 관계 정립의 장소.

“귀찮아”의 7개의 생각

  1. 의심심장한 추론이네요. : )

    저에게 가장 인상적인 '어원'은 '아름답다'에 관한 어원입니다.

    김현이 '행복한 책읽기'에서 짧게 이에 대해 이야기하죠.

    '아름답다'는 '아는 대상 답다'라고 김현은 이야기하고 있는데, 아름다움을 인식(앎)과 연결하더만요.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선 '앎'의 깊이와 폭을 깊고 넓게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공감합니다.

    귀찮다…'귀하지 않다'도 역시나 매우 공감하게 되네요.

  2. 앎의 깊이와 폭이라… 아는 대상.. 멋지네요!! 트랙백합니다.

    …라고 썼는데 생각해보니 트랙백에 문제가 있다고 하셨네요. ^^

  3. '귀찮다'와 민노씨님의 '아름답다'에 관한 글들을 읽으며 신선한 깨달음들이 밀려오네요. 생각이 정리되어지면 이에 관련한 글을 포스팅 해봐야겠어요. 두분 감사합니다.~^^

  4. 귀찮다[귀찬타] 〔귀찮은, 귀찮아, 귀찮습니다〕【형용사】

    싫고 성가시다.

    [예문]저는 형님이 꾸중하시던 것을 귀찮게만 여겼었는데 이제는 그것이 후회가 됩니다./그도 만사가 귀찮기만 하였다./그 순간 무엇이라 말하기도 귀찮았다./너 자꾸 나만 이렇게 귀찮게 할래?/영규는 친구를 만나는 것도 좋아하지 않았으며, 아이들을 데리고 외출하는 것도 귀찮게 생각했다

    ———————————————-

    출처 : 연세한국어사전

  5. @거시기 – 2010/08/08 01:37
    감사합니다.

    이미 국어사전 등에서 정의된 것들은 확인했지만,

    위 글은 그저 제 생각을 적어내려간 것이니까요.

    예를 들면 이전에 어르신들이 자지 보지를 아무렇지도 않게 남자와 여자의 중요부분을 이르는 고유명사로 사용했지만, 지금의 사전들에서는 남성의 성기를 천하게 이르는 말 등으로 정의하고 있지요.

    정의라는 것은 시대에 따라 변하게 마련이니까요.

    그건 그 시대의 사람들이 어떻게 쓰고 있느냐를 반영해서 내용이 갱신되는 것이라는 말도 되지 않을까요?

    뭐… 그렇습니다.

    ^^

  6. trackback from: 댓글을 확인하다보니
    귀찮아 에 어떤 분께서 연세국어사전의 정의를 긁어다 붙여주셨네요. 하지만 그 글은 그 당시의 다른 정의를 통해 생각을 이어나간 것이 아니라 그저 제 머리속에서 이어지는 흐름을 적어놓은거라서요. 쨌든 댓글을 확인하다보니 댓글을 분명히 달아두었는데, 지금 보니 없는 것들이 있더라고요. 귀찮아에 달려있는 도아님의 댓글에 답변을 했었는데, 지금 보니 없네요. 아마도 전에 워드프레스로 옮기기 위해 백업하고 복원하는 과정에서 빠졌나봅니다. 이미 백업 본들은 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