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는 베이스가 하는 영역도, 색소폰이 하는 영역도 모두 연주할 수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밴드에서 피아노를 칠 때는 모든 것을 다 표현하기보다 베이스와 색소폰이 빛날 수 있도록, 그들의 영역을 비워주어야 합니다…”
(중략)리더가 하는 말 중 가장 위대한 말은 “I don’t know”라고. 리더는 모든 것을 다 할 줄 아는 사람이 아니라, 조직에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을 선발하는 사람이고, 조직의 살림살이 꾼이지요. 실제 일은 각 분야의 전문가가 하는 것이지, 리더가 다 알 수는 없겠지요.
여백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사람인가 자문해봤다. 대답은 금새 나왔다.
누군가가 활동할 공간을 내어주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으로 채우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군에서 창고관리담당관으로 근무를 하면서 병사들과 함께 창고를 운영해 가는데 있어서 전산관련 분야를 모두 담당해서 검토하고 처리하려고 했는데, 그 때의 그런 기간은 괴로움의 연속이었다. 일은 밀려가는 듯하고 제대로 처리 되지 않거나 누락되는 부분도 간혹 스스로의 점검으로 노출되고는 했다.
최근에 조별 발표를 준비하면서도 마찬가지이다. 같은 조원들과 함께 토의하고 만들어가야하는데 그들의 담당부분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또 나서서 그것을 마음에 들 정도의 수준으로 만들어버리려고 한다. 그러는 과정에서 상대에 대한 배려를 충분히 하지 못했다는 것이 지금의 자체 평가 결과이다.
모든 것을 할 수 있더라도 그 분야에서 활동할 사람이 있고 그 사람을 도드라지도록 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보다는 그 사람의 하는 일에 대해 필자가 가진 기대수준에 억지로라도 맞추려 했다는 이야기다.
그러는 과정에서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추가 :
즉흥연주와 공간의 이야기를 다시 되뇌이다 보니 얼마전에 1기를 다 본 애니메이션 하나가 떠 오른다. 그것은 노다메 칸타빌레인데, 치아키라는 캐릭터는 완벽주의적 성향을 가진 뮤지션이다. 지휘자를 꿈꾸지만 피아니스트로서 학교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이다.
치아키의 친구가 되는 음식점집 아들래미의 시험에 노다메 대신에 함께 연주를 하는데, 자신의 완벽주의자 성향의 성격 때문에 그의 모자란 연주에 자신의 반주를 완벽하게 맞추어 낸다.
이건 노다메와의 첫 만남에서 담당 교수로부터 노다메와 함께 연주하라고 했던 장면으로부터 꾸준히 마음속으로 외치는 한 마디다.
물론 자신의 완벽주의자적인 성향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함께 연주하는 연주자의 모자란 부분을 메꾸어 돋보이게 하는 모습은 저런것이구나하는 생각을 다시 하게하는 인물이다.
모든 리더들은 자기의 강, 약점에 따라 실수의 과정을 계속 거친다고 봅니다. 다만, 일부 리더들만이 거치는 과정은, Cansmile님이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자기의 스타일에 대해 되돌아보고, 보다 나은 리더십을 위해 교정하려는 노력이지요. 그러한 reflection과 revision의 과정이 없이는 진정한 리더십에 이를 수 없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Cansmile님의 솔직한 이야기가 와닿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trackback from: '여백' (empty space)을 연주할 수 있는 사람이길 바라며.
1. 어제는 하루 종일 Doug와 일정을 보내고, 저녁 6시 쯤 호텔을 나섰습니다. 비가 조금씩 내리고 있었는데, 마차를 이끄는 마부가 도시를 한 번 돌아보라고 '영업'하길래, 그것도 괜찮겠다 싶어, 마차를 타고 간단한 시티 투어를 했습니다. 저녁 6시가 조금 넘은 St. Louis의 도심은 텅 비어있었습니다. 썰렁했지요. 이곳에서 두 사람에게 저녁에 가 볼 만한 곳을 물어보았는데, 두 사람 모두 말 끝에 "택시 타고 호텔로 돌아오라"라는 말을 잊지..
@김호 – 2007/10/17 19:09
실수한 경험을 드러내는 것은 부끄럽지만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이 더 부끄러운 거니까요. 제가 부끄러운 실수를 드러내는 것도 다른 사람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이에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