몹쓸 것들은 뭐하러 보냐?

제가 시사기자단 홈페이지를 보고 있는데 아버지께서는 그런 몹쓸 놈들 것은 뭐하러 보냐?고 하셨다. 시사저널의 추태를 꼬집어 말씀하시는 것이다.

필자의 주변 블로거들을 통해서 시사저널 사태에 대한 소식을 접하고 시사저널 거리기자단 홈페이지에 방문하고 가입도 하였다. 그 동안 올라온 글들을 주욱 읽어내려가고 있는 순간에 시사저널이라는 글자만 보시고 하신 말씀이다.

아~ 나만 알아선 안되겠구나 싶어서 아버지께 시사저널이 아니라 시사저널에서 나온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페이지에요 라고 말씀드렸더니 오~ 그래? 하시면서 희색을 보이셨다.

사실 그 때 아버지께 가입하시라고 말씀드리려다가 이런 사실을 아시게 되셨으니 자발적으로 가입하시겠지? 라는 생각으로 그만두었다. 성품이 적극적이신 분이시기 때문에 그러실 거라고 생각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가입하셨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아도 되리라 생각된다.

그러던 오늘 시사기자단으로부터 좋은 소식이 메일을 통해 보내져왔다. 그 내용인즉슨 자원하여 도움을 주신분들에 대한 감사하다는 것과 새로이 새 매체를 위한 정기구독신청을 해 달라는 것이었다.

사정이 허락하는대로 입금하여 신청하고 후에 매체가 발간되면 잔금을 치루어 달라는 것이다. 물론 마음 같아서는 수십만원 아니 수백만원이라도 보내주고 싶지만 재정적 여건이 그렇게 허락되지 않기 때문에 조금의 성의를 보낼 수 밖에 없지만 그것 외에도 이렇게 다른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가능성에 보탬이 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굳이 이런 포스팅을 하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을 통해 알려지겠지만 조금이라도 노출을 위한 노력을 하여 가능성을 넓히고자 함이다.

메일내용보기

사흘 만에 2억 원을 모아주셨습니다

  세상 일이 그런 것이겠지요. 기자들이 매체를 떠난 뒤에야 <시사저널> 사태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많은 시민들은 난데없이 기자들이 울고 불고 하는 것을 보고서야 이 사태를 알게 되신 듯했습니다.


저의 후배 기자들은 편집국장 몰래 빠진 기사 세 페이지 때문에 1년을 싸웠고, 6개월 동안 월급 한 푼 못 받는 파업을 벌이고,
또 끝내는 사주의 결단을 청하며 사주의 집 앞에서 곡기를 끊고 주저앉았습니다. 팔과 다리를 자르고 무릎 걸음으로 기어들어오라는
회사의 태도에 후배들이 결단했습니다. 길이 끊긴 그 곳에서 그들은 자폭했습니다. 그런 후배들을 지켜봐야하는 제 마음의 비통함을
말하는 것은 사치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음에 놀라고 슬퍼해 주신
분들이 너무 많아 저는 먹먹합니다. 7월 현재, 전 시사저널 기자들로 구성된 참언론실천시사기자단은 시쳇말로 시대착오적일지 모르는
일에 몰두해 있습니다. 오는 9월 창간을 목표로 신매체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호도, 창간 날짜도 없는데 정기 구독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제호도 지어달라고 손을 벌리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호응해주셨습니다. 기자단 발족 이후 1주일 동안 저희 통장에
입금된 금액만 3억 원이 넘었습니다. 1만원, 2만원 또 덜컥 5백만원…. 그렇게 모인 돈입니다. 단지 기자들이 안쓰러워 은행에
찾아가 돈을 입금하는 번거로운 일을 하신 것은 아닐 것입니다.

  빠진 세
페이지 기사는 세상을 뒤흔들 특종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편집장이라면 실었을 것입니다. 그 기사가 빠진 과정은
비상식적이었습니다. 그리고 그에 항의하는 기자들을 응대하는 장본인들의 태도는 몰상식했습니다. 싸움의 끝에 이르러 한 후배가
말했습니다. “우리가 졌다. 그런데 우리만 진 게 아니고 전체 언론이 다 졌다.”


저는 그 말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곳도 아니고 다른 일도 아니고, 언론사에서 거대 광고주와 사주의 이해 때문에 편집권이
문제가 된 사안에 대해 주요 언론이 외면하고 입을 닫았습니다. 그 고집스러운 침묵의 의미를 알아챈 사주와 사장은 상식을 조롱하며
철퇴를 휘둘렀습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기자 24명 가운데 17명을 징계하고, 한 사건에 대해 취재진과 독자, 시민단체 대표 등
닥치는 대로 23명이나 법정에 세우겠다고 고소 고발할 염을 품지 못했을 것입니다. 겨우 입을 연 언론에 대해서는 고소로 재갈을
물렸습니다. 예상대로 많은 언론이 중얼거리다가 입을 닫았습니다. 저희는 말라 죽어갔습니다. 몇몇 언론만 피를 토하듯 외롭고
분주히 저희 싸움을 보고했습니다.  

  하지만 상식은 살아있었습니다. 지금
저희는 컴퓨터가 단 한 대도 없이 더부살이를 하고 있는데 자원 봉사자들이 노트북을 들고 와서 회원 관리를 해주고 후원 전화를
받아줍니다. 충남 당진의 한 주부는 “너무 멀어 밥을 해주지는 못하고 반찬을 택배로 부쳐 줄테니 밥만 해서 먹으라”고 전화를
합니다. 기금에 보태라며 미국에서 그림 수십 점이 날아옵니다. 중고차를 취재차로 쓰라며 한 중고차 상인이 전화를 합니다. 단식
농성장에는 퇴근하고 어둑한 골목길을 더듬어 굶는 기자들을 격려하러 오는 독자들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언론이 그 상식의 힘을
증폭시키지 못했을 뿐입니다.  

  어떤 분이 이런 메모를 남겼습니다.
‘뉴스를 볼 수도, 안 볼 수도 없는 세상.’ 저는 그 말 속에서 더 이상 사회의 정직한 보고자로서의 책무를 잊어버린 기성
언론에 대한 가없는 염증을 확인합니다. 그 염증에 우리는 책임이 없는가 돌아봅니다. 언론이 상식의 힘을 증폭시켜야 합니다.
여러분, 저희가 두려운 마음으로 그 길을 걷고자 합니다. 지켜봐 주십시오.

참언론실천시사기자단장 문정우  

 ∼•∼•∼•∼•∼•∼•∼•∼•∼•∼•∼•∼•∼•∼•∼•∼•∼•∼

저희가 가는 길에 함께 해주세요.

  아직 제호도, 창간 날짜도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감히 청합니다.

새 매체는 성역없는 탐사 보도, 균형잡힌 공론의 마당, 깊이 있는 정보와 책임있는 대안 모색을 기치로 내걸었습니다.

벌써부터 많은 분들이 후원금을 보내고 계십니다. 1만원부터 수백만 원에 이르기까지 후원계좌에 돈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귀한 이들의 뜻을 밑천삼아 길을 내고자 합니다.

미래의 독자 자리를 예약해 주십시오.

구독 약정은 미래의 정기 구독을 약속하는 것입니다. 매체 창간 후 비로소 정기 구독으로 전환됩니다. 정해진 약정금은 없습니다.
지금 본인 형편껏 약정금을 넣어주시고, 매체 창간 후 구독료와의 차액을 입금해주시면 됩니다. 정기 구독 약정자는 자동으로
발기인으로 등록됩니다.

정기구독 약정계좌 : 국민은행 832102-04-095740 유옥경
비고)정기 구독료 : 1년 15만원, 2년 30만원, 3년 45만원, 5년 75만원, 7년 100만원

  투자의 길도 열려있습니다.

독립 언론의 주주가 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투자의 길도 열려있습니다.
최소 투자 금액은 50만원이며 1천만원까지 가능합니다.

투자금 입금계좌 : 우리은행 1002-134-796096 유옥경

  그냥 후원하고 싶은 분도 계시지요?

굳이 정기 구독이나 투자를 기약하지 않더라도, 그냥 시사기자단을 돕고 싶다는 뜻을 갖고 계신 분은 후원 계좌를 이용해 주세요.

후원금 입금계좌 : 농협 100102-56-002472 유옥경시사기자단

**이 메일을 혼자만 보지 마시고 주변 분들에게도 전달해주세요**

저희 기자단을 돕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시사저널 사태가 궁금하시면 아래의 < PD 수첩 >을 봐주세요.


뭐 굉장한 목적을 위해 이런 행동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충실히 전해 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 싶을 뿐이다. 이 작은 행동 하나가 더 진실된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무리한다.ㅣ

“몹쓸 것들은 뭐하러 보냐?”의 2개의 생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