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8세의 참언론을 위한 준비

2006년 여름 시사저널은 사장에 의해 한 기사가 광고지면으로 바뀌었다.

그 사태에 대한 여러 증거들을 모아놓은 블로그가 바로 시사저널 거리 편집국이다. 이 곳은 시사저널에서 나온 기자들이 신 매체 창간을 위한 준비까지의 활동사항들을 작성해 놓은 곳이다. 지금도 활동이 완전히 멈춰진 것은 아닌데, 글이 대략 뜸한 편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다. 지난 기록들은 어떻게 그것들이 진행되어왔고,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들이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띄엄 띄엄 알고 있던 사건의 진행 사항들에 대한 정보들을 이를 통해 얻고 있다.

그러면서 시사저널이 18년이나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런 시점에서 삼성기사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한국에서의 성인은 만 18세를 기준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이것은 성인영화를 볼 수 있는 능력 – 한 사람으로 자신에게 이로울지 해로울지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 을 지녔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어진다.

시사저널이 그 대상이 되어 언론의 탄압되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치 18세의 한국인들이 스스로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어떤 일을 할 지 무엇을 좋아하고 행복해 질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평균적인 나이일 것이다.

이런 것이 생각나게 된 동기는 시사저널 거리 편집국의 다음의 한 부분이다.

독립정신이 훼손되고 유린당한 매체,
기자다운 기자들이 떠나버린 <시사저널>은 더 이상 <시사저널>이 아닙니다. 알맹이는 가고 껍데기만 남은,
죽은 매체일 뿐입니다. 우리 전직들은 시사저널을 사랑했기에 시사저널로 돌아가지 않은 파업 기자들의 결단을 지지하면서 이제 정든
그 이름, 아름다운 과거와 작별을 고하고자 합니다. 굿바이 시사저널!

위의 인용문은 전 시사저널 기자들의 참 언론 실천 시사기자단의 성명서의 마지막 부분인데,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표현이 있었지만, 그런 부분들을 읽을 때에는 아무런 감정이나 특별한 생각이 들지 않았는데, 왜 위의 부분에서 그런 생각이 들게 되었을까?

아마도 그들의 행보가 드디어 가속되기 때문이 아닐까. 크게 진실을 향한 한 걸음 내 딛고자 하는 그들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18년 동안 자라온 나무의 열매가 뜨거운 햇살을 받으며 병충해를 이겨내어오면서 무르익은 열매라서 그런것이리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