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Perfume – The story of a murderer를 소설로 접한건 아마도 2004년 쯤으로 기억된다. 그 때 소설로 읽으면서 이러 저러한 이미지들을 형성해 뒀었는데, 긴 분량의 소설을 재미있게 읽을 수도 있구나 싶은 생각도 들긴 했지만 무엇보다 주인공인 그르누이(Jean-Baptiste Grenouille)에 대한 이미지와 그가 향을 좇아 가는 모습에서의 그 향의 모습이다.

먼저 그르누이는 주세페 발디니(Giuseppe Baldini)의 향수 가게에 들어가기 전에 일했던 곳에서 병을 겪고 나서 면역을 가진채 몇년을 일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병을 앓고 난 뒤의 그의 모습에 대해 마치 골룸과 유사한 모습의 이미지를 형성했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웬 잘 생긴 청년 하나가 대~~~충 아팠었는지 말았는지, 그런 모습으로 마지막 압사 당하는 그곳까지 유지해나간다.

그리고 그가 향을 좇아가는 모습을 영화에서는 그다지 잘 표현했다고 생각되어지지는 않지만 소설로 읽었을 때 형성했던 이미지와는 차이를 보였다. 사실 소설을 읽으면서 향을 좇아가는 모습은 아스라히 퍼지는 뿌연 연기 줄기 같은 향이 실처럼 그 향의 근원지로부터 그르누이에게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상상했었다.

쨌뜬 이번에 개봉한 영화를 보기 전에 소설의 스토리를 그대로 담았다는 말에 적잖이 기대했었는데, 역시나 소설만큼의 디테일은 살리지 않았지만 실망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죽어가는 그녀들의 수를 세어보라고 하는 듯이 그녀들의 시신은 한번씩 비춰주는 것이 조금 신경쓰였을 뿐이다.

영화를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해 봤는데, 그르누이가 개체를 인식하는 것은 향기인데, 내용의 중반부에서 자신은 향기를 가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것은 자존감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일까. 또한 그가 여성들에게서 찾으려고 했던 것은 결국엔 그녀들의 향기가 아니라 그녀들에게 사랑받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영화 마지막부분에서 그는 사형장에서 그녀들의 체취를 담은 향수를 이용해 사람들을 조정할 수 있게 됐는데 마지막 희생자인 로즈의 아버지가 자신에게 달려들고 나서야 그는 깨달았다고 생각된다.

자신이 담아두고 싶었던 것은 그녀의 향(체취)이 아니라 그녀가 사랑해 주기를 바라는 그 마음이었음을 말이다. 그녀로부터 사랑을 받고 싶었던 마음이었음을 알게 됐다.

그는 내용의 중간에도 종종 자신의 목적을 잊고, 완전히 잊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데 아마도 그 본 목적을 알았을 때 자신의 존재를 지워버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렇게 그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모여 압사당하기 위해 그 향수를 자신에게 부은것이리라 생각된다.

또한 사형장에서의 모습들은 그 향수의 배경이 되는 시대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꼬집어 놨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 시대의 타락한 인간들, 종교의 지도자들의 모습들, 그리고 마녀사냥의 모습까지도 말이다.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의 한가지 생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