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자연을 정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을 정복하기 위해 많이 공부하여라. 그리고 혁명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 각자가 외따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무런 가치도 없다는 점을 늘 기억하여 주기 바란다.
특히 이 세계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행해질 모든 불의를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웠으면 좋겠구나. 누구보다 너희들 자신에 대해 가장 깊이. 그것이야말로 혁명가가 가져야 할 가장 아름다운 자질이란다.1

이 책 처음 봤을 때부터 좀 괜찮겠다 싶었다. 하지만 책의 두께가 만만치 않아서 필자가 읽는 동안에도 여려 명이 한 번 읽어보고 싶었다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또 그들 중 읽어본 몇 명의 사람들은 재미가 없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재미있었으며 체 게바라를 좋아하게 되었다는 한 명 만이 있었다.

그 중 한 명의 후배는 책을 재미있다고 표현했지만, 사실 재미있지는 않았다.

어제 저녁에 마무리 지어지는 부분을 읽으면서 그의 최후에 대한 장면을 묘사해 놓은 장면을 보고나서 참 허탈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 와중에서도 그에 대해 존경심이 느껴졌다.

자신을 죽여야 하는 그 사람이 자신의 임무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고는 자신을 쏘라고 했던 장면에서 말이다.

이 장면을 읽으면서 예의없는 것들이라는 영화에서 신하균씨가 목사를 죽이는 장면에서 그 비리 목사의 입에서 나온 말들을 생각해 보았다. 나라면 그 사람과 다른 말을 뱉었을까? 자신을 죽이는 사람을 오히려 독려하고 축복해 줄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났다.

말로는 그렇게 한다고 하지만, 머리 속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다짐은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할 만큼의 성화가 이루어졌을까 싶은 생각이다. 성화라는 것은 ~화… 변해 간다는 말이다. 성화가 완전히 이루어져서 죽는 인간은 없다. 하나님이시면서 인간이셨던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완전히 성화된 인간은 없는 것이다.

쨌든 체 게바라 평전을 읽으면서 뭐든 시작하면 끝장을 봐야하는 성질이 제대로 발동했기 때문에 육백 몇 십여 페이지의 책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게다가 일정을 소화해가면서 그 많은 페이지의 책 한권을 다 읽었다는 기쁨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1. 장 코르미에 지음, 체 게바라 평전, 김미선 옮김, (서울:(주)실천문학, 2004), pp. 518~519.[]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We use cookies in order to give you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on our website. By continuing to use this site, you agree to our use of cookies.
Accept
Privac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