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 기간이라서 늦은 시간까지 학교에 있다가 동생이 퇴근하는 시간에 맞춰 나왔다. 나오면서 TU를 보는데, 다른 곳에서는 재미있는 것도 하지 않고해서 TU BOX채널을 확인해 보니 사랑따윈 필요없어를 무료로 상영하고 있었다.
동생을 태우러 가서 동생을 태웠는데 누군가와 통화하면서 상대편에서 시끄러운게 뭐냐고 물었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사랑따윈 필요없어라고 했더니, 그 영화 망한거야? 라고 대뜸 말했다.
영화를 다 본 후의 감상은 웬지 마무리가 상업적 영화로 성공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았나 싶다. 내용 전반적인 평가는 뒤로 제쳐두고 마지막 부분에서 오히려 비극으로 끝났다면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을지언정 상업적인 영화로서는 성공을 거두었을것이라는 생각이다.
2006년 한국, 전혀 새로운 <사랑따윈 필요없어>를 만난다!
영화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2002년 일본 TBS 방송국에서 방영했던 드라마 ‘사랑따윈 필요없어, 여름’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와타베 아츠로가 남자 주인공 레이지를, 히로스에 료코가 여주인공 아코를 맡아 총 10부작으로 방영 되었던 드라마를
한국에서 영화로 리메이크 한 작품인 것. 싸이더스FNH가 TBS로부터 판권을 구입한 후 이철하 감독이 연출을 맡아 1년이 넘는
시나리오 작업과 프리 프러덕션 과정을 거쳐 김주혁과 문근영 주연의 영화로 재탄생 하였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영화는 원작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되 드라마와 영화의 차이 뿐 아니라 다른 문화, 다른 시대, 다른 배우와 스탭들이 만들어낸 전혀 새로운 감성을 담고
있다. “김주혁이라는 배우가 세상에 단 한 사람 뿐이듯, 그가 연기하는 줄리앙도 세상에 한 명 뿐이다”라는 김주혁의 말처럼,
“원작은 원작일 뿐이다. 너무 많은 스탭들이 함께 고생하며 줄리앙과 류민의 영화를 만들었다. 우리들의 영화를 보러 와 달라”는
문근영의 말처럼, 영화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원작과는 또 다른 새로움으로 관객들을 찾아갈 것이다.
영화 제작 노트를 살피다 보니 일본의 동명 드라마를 원작으로 한 영화였다. 한국의 정서에 맞게 각색했다는데 이 정도 되면 원작을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일단 지금은 시험 기간이기 때문에 시험을 끝내고 난 후에 감상해야 겠다.

일단 각색된 국내 영화판 사랑따윈 필요없어는 웬지 아쉬운 부분이 많다. 여러 요소들 중에 마지막의 결말이 그 중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